올해 축산분야의 최대 화두 중 하나는 검역 및 방역 강화다. 월드컵과 아시안게임, 안면도 꽃박람회 등 국제행사시 구제역 발생국에서 입국하는 여행객들에 의해 구제역 바이러스가 유입될 위험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구제역과 돼지콜레라 청정화 유지는 우리 축산업에 사활이 걸려 있는 중요한 사안이다. 이에 김동태 농림부 장관도 지난 7일 인천공항과 항만을 불시 방문, 검역실태를 점검하고 해외악성 가축전염병 유입방지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이러한 김 장관의 행보가 결실을 얻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 요즘 국민들은 월드컵이 한국경제 부흥이라는 기대효과에만 들떠구제역 재발에 대한 심각성은 잊고 있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축산농민들도 지난해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획득한 이후 자율방역에 소홀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이런 상황에서는 정부가 아무리 해외 악성 가축질병 근절에 의지를 갖고 있다하더라도 성공할 수 없다. 정부와 함께 국민, 그리고 축산업계 모두가 가축질병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철저하게 대응해 나가야 한다. 만에 하나 구제역이 재발하게 되면 축산업 뿐만 아니라 국가경제 전반이 막대한 타격을 입게 된다. 월드컵 등 각종 행사가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전 국민적 차원의 경각심 강화가 필요한 이유다.특히 정부는 검역 및 방역업무를 철저히 할 수 있도록 재정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지난해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이 질병방역부를 설립하는 등 나름대로 뼈대를 갖추었지만 인력이 제대로 충원되지 못했다. 검역원이 68명을 요구했지만 20명만 충원됐다는 것이다. 장비 보강도 확실히 이뤄져야 한다. 탐색견 수를 늘리고 X선 투시기를 확대해 검역을 강화해야 한다. 올해 국가방역 예산이 부족하다면 추경을 편성해서라도 예산을 확보해 검역 및 방역 시스템을 완벽하게 구축해야 한다. 아울러 중앙과 지방의 방역업무시스템이 일사 분란하게 추진되기 위해서는 현재의 구조하에서는 한계가 있다. 중앙정부가 지방자치단체의 방역업무를 제대로 통제할 수 없어 지방자치선거를 앞두고 자칫 방역체계가 흔들리지 않을까 우려된다. 지난해 추진하다 중단됐던 동식물방역청 신설을 재검토해야 한다.아울러 민간차원의 방역업무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가축방역본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공동방역에 축산관련업계들의 관심과 참여가 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