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우병 파동으로 축산농가들의 어려움이 채 가시기 전에 이번엔 구제역 재발 공포에 시달리고 있다. 최근 몽골과 중국에 이어 영국에서도 20년만에 구제역이 발생한 데다 본격적인 황사철을 앞두고 구제역 재발 가능성이 관련업계에서 강하게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구제역 발생으로 큰 피해와 고통을 경험한 국내에서 구제역이 또 다시 재발할 경우 축산기반이 송두리째 붕괴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들다.이에 정부는 구제역 예방대책을 강도 높게 추진하기 위해 이달 24일부터 4월말까지 구제역 특별대책 기간을 설정해 국내 방역과 국경검역을 강화함은 물론 범 정부차원의 구제역 특별대책 협의회를 설치,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문제는 이 대책을 일선 현장에서 얼마나 실천하고 어떻게 추진하느냐이다.최근 광우병 파동을 통해 우왕좌왕하는 정부대책이 축산농가에 얼마나 큰 피해를 주는지 우리는 뼈저리게 경험했다. 광우병이 국내에 발병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무분별한 언론보도로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이 커진 것이다. 물론 농림부가 영국산 우제류 동물 및 그 생산물에 대한 수입검역 중단조치를 했지만 금년 1월부터 현재까지 영국으로부터 돼지고기 5백40톤, 우피, 면 양피 등 6백49톤이 수입된 만큼 국민들이 의혹을 가질 수 있다. 정부는 이를 투명하고 정확하게 밝혀야 또 다른 의혹을 막을 수 있다.특히 그동안 정부가 추진한 구제역 재발 방지대책에 어떤 문제가 있는 것인가를 정확히 밝혀 보완해 나가야 한다. 2월부터 4월까지 월 2회 전국 일제 소독의 날을 운영하고 있지만 10두 미만 소규모 농가들의 인식부족으로 성과가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구제역 예방접종 가축의 사후관리 문제, 구제역 방역체계의 문제점, 그리고 공·항만 불법 반입 육류, 수입건초, 선박 항공기의 남은 음식물 등 검역 강화 문제 등이 제대로 되고 있는가를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 특히 현재의 중앙과 지방 방역조직의 운영의 책임권한을 중앙조직으로 일원화하고 각 지자체의 수의관련 전공자 배치, 행정조직의 재정비가 중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현재 추진하고 있는 동식물 방역청 신설은 조기에 이뤄져야 한다. 어떻든 이번 봄철에 구제역이 재발할 경우 오는 9월 청정화 선언 계획은 수포로 돌아가게 된다. 구제역 재발을 막아 계획대로 청정국으로 인정받아 새로운 축산업의 활로를 찾도록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