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업계가 고사직전이다. 지속된 경기 불황에 청탁금지법 시행이 겹치면서 꽃 소비가 급속히 침체되고 있는 탓이다. 이는 수치로 드러나고 있다. 2005년 2만870원이었던 1인당 연간 화훼 소비액은 2010년 1만6098원, 2015년 1만3000원으로 급락했다. 10년새 37%가 줄어든 것이다.

이에 따라 화훼 생산규모는 2005년 1조105억에서 2010년 8510억, 2015년 6332억으로 쪼그라들었다. 올해에는 5000억원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국내 꽃 소비가 여전히 경조사용·선물용에 치중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특단의 구제대책이 없는 한 국내 화훼산업은 회생불능의 나락으로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상황이 예상보다 심각하게 돌아가자 최근 지자체들이 대책을 내놓고 있기는 하다. 지난달 19일 ‘화훼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안’을 발표한 경기도는 꽃 생활화 캠페인을 비롯 시·군축제시 화훼 직거래 장터 개설, 로컬푸드 직매장에 화훼 판매코너 설치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경남도도 지난달 ‘사무실 꽃 생활화’를 천명, 우선 꽃집과 1년 계약을 맺어 본청과 진주청사 사무실에 꽃을 상시 배치하고 이를 시·군과 유관 기관에도 전파, 동참을 유도할 계획이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도 7일 ‘국회 꽃 생활화 운동 출범식’을 열고 국회 각 사무실에서부터 ‘원테이블 원플라워 운동’을 시작, 각 기업과 지방자치단체로 확산시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하지만 이러한 대책이 실제 꽃소비 활성화로 이어질 지는 미지수다. 공직자가 3만원 이상의 화환을 받을 수 없게 제한한 2003년 ‘공무원 행동강령’으로 화훼산업이 직격탄을 맞은 이래, 꽃 소비 활성화를 목표로 농식품부가 이미 다양한 대책을 추진한 바 있지만, 꽃 소비는 오히려 더 줄어든 현실이 이를 방증한다. 더 늦기 전에 화훼업계가 요구하고 있는 ‘화훼산업진흥법(가칭)’ 제정과 정확한 시장분석을 위한 연구용역 착수 등 보다 근본적 해법을 고민할 때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