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부가 최근 구제역 발생지역의 철저한 사후관리를 거쳐 내년 7월께 구제역 청정국 선언을 하겠다는 것은 큰 의미를 갖고 있다. 이는최종 예방접종 이후 국제기준에 적합한 사후관리를 통해 12개월이 지나도록 추가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을 때에는 구제역 비발생국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국제수역사무국 규정에 따른 것이지만 축산업의 새로운 활로를 조기에 찾겠다는 정부의 강한 의지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농림부는 사후관리에 따른 농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방접종표시관리비, 살처분 농가 휴업기간 생계비, 우유손실비, 축산종합자금등을 지원하고 예방접종 가축을 판매할 때 다른 지역 가축과 거래 차액이 생기면 이를 보전해주는 등 다양한 대책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는 구제역 청정국 선언을 조기에 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에 대해큰 찬사를 보내면서 이를 실현하기엔 정부의 노력만으로 한계가 있는만큼 모든 축산관련업계가 함께 동참해 공동 대처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물론 정부도 사후관리 방안에 대한 양축농가의 적극적인 협조를 유도하기 위해 사후관리에 따른 직·간접 피해 지원을 결정하기 앞서 구제역 발생지역 축산농가 대표 등의 의견을 적극 수렴했다. 하지만 이 대책 추진과 함께 구제역 발생으로 피해를 본 현장 축산농가의 다양한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수렴, 미비된 점을 보완 검토하는것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본사가 지난달 30일 주최한 구제역 극복과 한국 축산업의 생존전략 세미나에서 많은 의견이 제시된 만큼 실현 가능성 있는 것부터 적극 추진해야 한다. 우리가 지적코자 하는 것은 정부의 계획대로 청정화 선언이 실현되려면 구제역이 재 발병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다. 현재 구제역이 진정기미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 우리에겐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일본이 구제역의 조기박멸에 성공했다고 선언했다가 뒤늦게 또 재발생했던 점을 볼 때 우리 나라에도 구제역 바이러스가 90일간 생존가능성이 높아 아직 마음 놓을 상태가 아니다. 농가 스스로 차단방역과소독을 철저히 해 또다시 구제역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정부도 구제역 유입 방지를 위해 구제역 발생국가의 여행객에 대한 신발소독과 건초류 소독조치 등 검역과 방역을 강화시켜야 한다. 아울러 사료 및 동물약품업계 등 축산관련업계도 구제역의 청정화선언이 꼭 실현될 수 있도록 축산업, 축산농가와 함께 생각하는 기업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