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청년층 귀농·귀촌을 유도하기 위해 청년 귀농창업 1만가구를 육성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지난해 귀농·귀촌인구는 48만6638명에 달하지만 39세 이하 청년층 귀농·귀촌은 2013년 1164가구에서 2015년 1150가구로 오히려 소폭 줄어들자 청년층 농업창업 1만가구 육성카드를 뽑아들었다.

동시에 귀농 5년차 가구의 소득을 농가 평균소득의 90%까지 향상시킨다는 야심찬 계획도 밝혔다. 여기에 그동안 문제로 지적되던 귀농·귀촌인과 농촌 현지 주민들간 불화에 따른 귀농·귀촌 실패를 해소하기 위해 융화교육도 확대한다는 계획도 포함시켰다.

정부의 이번 귀농·귀촌 지원계획을 크게 보면 청년층의 농업창업 중점지원과 귀농·귀촌교육의 내실화, 일자리와 주거 등 안정적 정착지원 강화, 지역 주민과의 융화 강화로 요약할 수 있다.

그동안 귀농·귀촌에 실패한 사례를 거울삼아 문제되던 분야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귀농·귀촌 붐을 조성, 살맛나는 농촌을 건설하겠다는 지원계획으로 귀농·귀촌 희망자들에게는 반가운 정책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그동안 귀농·귀촌에 실패한 사람들의 가장 큰 원인은 귀농·귀촌 교육을 못 받아서도 아니고 의지가 약한 것도 원인이 아니였다. 청년층이 귀농·귀촌에 성공하기 위한 농업법인이나 6차산업 인증기업 등에서 만들어내는 안정적인 일자리가 부족했고 실제 거주할 수 있는 주거용 집도 턱 없이 부족했다. 여기에 자녀들의 교육환경이 열악했고 병원, 문화시설 등의 복지 인프라 부족도 청년층의 귀농·귀촌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제는 귀농·귀촌에 실패한 사람들로부터 실질적인 문제점을 찾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밀착형 정책이 구체적으로 추진돼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