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생산이력제 도입에 대한 중요성이 갈수록 강조되고 있다. 소비자들에게 농산물 안전성의 불안감을 떨치면서 구매를 늘리는 수단이 되는 데다 수입농산물에 견주어 우리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일본, EU, 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생산이력제도를 도입·시행하고 있지만 우리의 경우 중앙정부가 우수 농산물관리제도(GAP)와 연계하여 2006년부터 본격 시행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다만 현재 각 지자체와 브랜드 업체들이 축산물을 중심으로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농산물은 축산물과 달리 원산지, 품종, 토양·수질관련 사항, 농약·비료사용량, 파종일·수확일, 생산농업인 인적사항, 규격 등 주요관리 대상이 많아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따라서 농산물 생산 이력제 사업이 조기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소비자 및 농업인을 위한 홍보 및 교육 등을 강화해야 할 것을 주문한다. 물론 농림부가 지난 2월 농· 식품 안전종합대책을 발표하면서 생산이력제 도입 추진계획을 내놓았지만 단순히 계획으로 끝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높다. 사업 첫해부터 이와 관련된 예산이 턱없이 부족해 홍보 및 교육 등을 추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농촌진흥청이 가정주부 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도 조사결과, 전체소비자의 80%가 생산이력제 도입 필요성을 인정했고, 66.7%는 농산물값이 올라도 도입해야 한다고 응답한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소비자와 생산자가 이 제도를 정확히 알지 못하면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높다. 생산이력 농산물이 시장에서 제값을 받을 수 있도록 소비자 홍보를 늘려야 한다. 특히 17대 국회에서 농산물품질관리법을 개정, 표준화된 기록·관리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양한 생산이력제도는 오히려 소비자 혼란만 초래할 수 있어 더욱 그렇다. 아울러 농협과 지자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등 관련기관들이 고령화된 생산농가가 생산이력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지원시스템 등을 제대로 구축해 추진할 것을 강조한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