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고품질 감귤을 생산하자”

제주특별자치도와 농업인단체 그리고 농민들은 모두 이 말에 공감을 표하지만 현실은 ‘딴 판’이다.

도는 지난 14일 제주감귤산업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 ‘고품질 감귤 안정생산 구조혁신 방침’을 발표했다. 고품질 감귤 생산기반 구축과 비상품 감귤 산지 퇴출을 강조하며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농가의 선 자구노력을 요구했다.

하지만 농민들은 현실성이 결여된 계획이라며, 도의 방침에 대해 반발하고 있다.

고품질 감귤을 생산해야 생존할 수 있다는 인식에는 도와 농민 모두 공감하지만 실천적 과제에 대해서는 서로 입장이 달라 갈등을 빚고 있는 것이다.

도와 농민의 감귤정책에 대한 입장차이는 하루 이틀의 얘기가 아니다. 지난 10년여간 6000억원의 예산이 감귤정책에 투입됐지만 고품질 생산은 고사하고 소비자의 기대치에도 못 미치는 생산을 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 현실이 여기에서 기인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품질 감귤 생산과 고질적인 감귤정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혁신과 소통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의식개혁 및 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뤄야만 한다.

이런 점에서 도가 내세운 농가의 ‘선 자구노력-후 지원’이라는 원칙과 방향은 옳다. 하지만 원칙과 방향이 제아무리 옳다 해도 제대로 된 실천적 과제가 수립되지 않는다면 ‘빛 좋은 개살구’에 지나지 않는다.

논란이 되고 있는 비상품 감귤 퇴출 계획에 대해서는 누구나 원칙적으로 공감하지만 현 시점에서는 지나치게 앞서가는 느낌이 짙다. 너무 이른 계획 추진이 현 상황을 오히려 악화 시킬 수 있다는 문제를 제기하는 농가들의 반발도 괜한 꼬투리가 아니다.

또한 감귤 구조혁신 방침을 발표하면서 농가와 소통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했다는 점은 도에서는 반성해야 할 부분이다.

시장개방으로 수입과일이 증가하고 새로운 경쟁상대가 등장하는 현 시장의 흐름 속에서 제주감귤산업은 근본적인 부분부터 변화·개혁하지 않으면 결국 무너져 내릴 수밖에 없다.

도와 생산자단체 그리고 농가가 서로 한 운명의 배를 탔다는 인식을 갖고 소통·협력한다면 현실성이 있는 실천 전략은 찾을 수 있다.

이 같은 전략이 바탕이 된다면 도의 ‘고품질 감귤 안정생산 구조혁신’ 원칙은 곧게 세워질 것이며,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고품질 감귤을 생산하자’라는 대명제도 넓게 가지를 뻗을 것이다. 

도와 농민의 소통으로 감귤산업의 변확·혁신을 이끌어 꿈과 희망의 의미를 담고 ‘대학나무’라 불리던 제주감귤의 영광이 다시 넓게 뻗어가길 기대해 본다.

강재남 기자 제주지역본부 kangjn@newsisjeu.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