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가격이 폭락한 2014년산 양파에 대해 오는 4월 중순까지 1만톤을 단기비축 한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에 따라 산지 양파가격도 자연스럽게 요동치고 있다. 그런데 긍정적인 평가보다는 당초 기대에 못 미친다는 목소리가 높다. 왜 그럴까? 실제 정부정책과 맞물려 최근 산지의 조생양파 포전매매 가격은 200평당 150만~200만원에 형성됐다. 2014년산 양파 재고량이 많아 가격이 크게 떨어진 상황에서 조생양파의 매매가격 반등은 이래적인 일로 받아들여진다. 그런데, 전체 생산량의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중만생종은 여전히 바닥세다. 정부 정책이 ‘언 발에 오줌누기’에 불과하다는 현장평가 때문이다.

2014년산 양파 재고량은 지난 1월 말 기준 29만3000톤으로 전년도보다 3만~6만톤 늘어난 것으로 추산된다. 이번 시장격리 조치는 양파 재고량이 과잉된 상태에서 좀처럼 시장가격이 회복되지 못하자 내놓은 대책으로, 전국적으로 1만톤이다.

실제 1년 넘게 이어진 양파가격 하락에 유통업체는 물론 농협까지 힘겨워 하는 상황이다. 가락시장의 양파 평균도매가격은 20kg 1망당 1만원을 넘지 못한다. 유통업체에선 보통 7000원에 수매해 창고임대료, 부패율, 선별작업비용, 운송비 등을 추가로 부담했기 때문에 1망당 최소 1만3000원 정도 받아야 본전이라고 한다. 상인들이 주장하는 가격에 거품이 좀 있다고 하더라도 현 상황에선 상인들은 물론 농협까지 1망당 4000원 정도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현실이다.

정부는 이번에 시장격리하는 물량은 오는 4월 15일 이후 시장여건을 살펴 방출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로드맵이 발표되자 4월 15일 이전에 수확되는 조생양파는 가격이 올랐지만, 중만생종은 오히려 가격하락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미 누적된 적자에 허덕이는 농협이나 상인들도 매입에 소극적이다.

이 같은 악순환의 고리를 한번은 단절해야 한다. 어쩌면 폐기나 수출처럼 국내시장에서 영구히 추방하는 극약처방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금이 그 적기다. 더 이상의 미봉책은 농민들은 물론 시장도 외면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안병한 기자 전남취재본부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