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열린 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중 FTA 연내 타결이 가시화되면서 농민들이 긴장하고 있다. 특히 제주의 대표산업인 감귤의 피해는 막대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중 FTA가 발효되면 향후 10년간 누적 피해액이 최대 1조5969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등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데도 민선6기의 대응책은 안이하다는 지적이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선거 전 한·중 FTA에 대한 도민 생존권 문제를 심각히 고민하고 실시간 협상 개입이 가능한 도지사 지휘 특별팀 구성과 협상 후에도 피해지원 대책에 대해 약속한 점을 상기한다면 더욱 그렇다. 이미 농민들의 실망은 극에 달했다. 지방선거 직후 원희룡 새도정준비위원회의 1차 산업분야의 위원명단을 보면 농민은 철저하게 배제됐다. 공약사업실천위원회도 마찬가지다. 사실상 제도권 내에서 농민들의 목소리는 없다. 제도권의 목소리는 사실상 현장이 배제된 교수들의 몫이다.

제주도 1차 산업의 붕괴는 지역경제의 파탄뿐 아니라 지역공동체의 존립 자체를 위태롭게 할 수 있다. 실제로 한·중 FTA 협상 과정에서 도내 전략 품목에 대한 양허제외를 정부 협상단에 요청해놨으나 어느 것 하나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당연히 농민들의 불안감은 가중될 수밖에 없다.

민선 6기 원 도정은 토론회나 설명회 같은 형식적인 소통이 아닌 현장의 목소리를 도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농민을 도정 중심에 깊숙이 관여하도록 배려해야만 한다. 그게 농민과의 소통이고 원 도정이 강조하는 협치일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