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 비빌 곳이 없습니다.” 한 농업계 전문가의 하소연이다. 새 정부에 농업 현장의 요구를 담은 내용을 전달하고 싶지만 줄 곳이 없다는 것이다.

사실 농민들은 다음달 25일 출범하는 박근혜 정부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편이다. 역대 정부가 그동안 농업을 외면한 채 정부 정책을 추진했지만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농업을 직접 챙기겠다”고 말하는 등 농업·농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런 기대감은 금방 무너졌다. 30만원 인상을 약속했던 쌀 고정직불금은 10만원 오르는데 그쳤고 박근혜 캠프에서 농정공약을 만들었던 이상무 새누리당 행복한농어촌추진단장은 모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축산농가를 환경오염과 구제역을 일으킨 장본인으로 비하했다. 이상무 단장은 대선 전 박근혜 후보에게 “농지규제를 풀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지는 등 농업·농촌의 소중함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채 농정을 펼치는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이처럼 차기 정부 인사들의 잘못된 인식을 바로 잡기 위해 농민들과 전문가 등은 현장의 요구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전달하려는 의지를 피력하고 있지만 이를 수용할 사람이 없다고 하소연한다. 농림수산식품부의 업무를 관할하는 인수위 경제2분과의 인수위원에는 농업계 전문가가 없기 때문이다.

농민들은 새 정부가 농촌에 활력을 주는 것은 물론 소득을 안정시켜주는 등 농업·농촌을 소중하게 인식하고 발전시켜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박근혜 당선인의 농정공약을 만든 인물들은 농업·농촌의 변화를 줄 새로운 인물 없이 이전 정부의 관료 출신과 친정부 인사를 주로 배치했고 이들 인사들의 인식도 현장 농민들의 요구와 다른 부분이 적지 않다. 새 정부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앞으로 5년, 박근혜 당선인과 그가 임명하는 인사들을  통해 농업·농촌은 변화할 것이다. 그 방향이 농업·농촌이 발전하는 방향으로 가려면 장관 등의 인사도 매우 중요하다. 또 농업이 발전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더욱 기울여줄 것을 당부한다.
이현우leeh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