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누구의 권위 있는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불량식품은 사회악이다. 사회악은 그 순위가 몇 번째든 반드시 척결돼야 하고 그래야만 하는 것이다.

가공식품의 적절치 못한 가격인상도 제재돼야 한다. 영업이익은 이익대로 올리면서 소비자들의 심리는 생각지 못한 자신들만의 뱃속 채우기 식 가격인상엔 마땅히 칼을 대야 한다.

문제는 이들 논란거리로 인해 정작 중요한 산업에서의 이슈와 정책들이 논외대상으로 전개되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 수십 년만의 한파가 몰아치고 있듯 식품산업 역시 한파에 얼어붙고 있다. 그런데 여기에 온기를 불어넣어야 할 식품산업 진흥책이, 당연시돼야 하고 논의 대상도 되지 않을 것들로 인해 힘을 받지 못하고 정책 이슈에서 소외되고 있다는 것은 너무나 아쉬운 대목이다.

자연스레 식품업계의 탄식이 여기저기서 흘러나오고 있다. 차기정부의 식품산업 정책이 규제위주로만 흘러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에서부터 한파 등 이상기후로 인한 원료수급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어떤 대안도 내놓지 않고 있다는 식의 불만 등이 터져 나오고 있는 것이다. 특히 국내산 원료를 가공하는 지역의 식품업체들은 그 힘겨움이 말로 표현하지 못할 지경이라고 한다. 이들 업체들은 최근 내놓은 정부의 할당관세 연장에도 우려를 표하고 있기도 하다. 원료수급난 문제를 할당관세로 풀지 않기를 바라고도 있다.

이제 식품산업의 이슈를 다시 제자리로 돌려놓아야 할 때이다. 이들 업체들이 생각하는 것들을, 두려워하고 우려하는 부분들을 말끔히 씻어줄 수 있는 진흥책이 나와야 하고 산업 이슈도 이 부분에 맞춰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새정부 출범을 앞둔 지금 물가담당 부서나 식품안전 부서보다 전면에 부각돼야 하는 곳이 식품진흥 부서여야 하고, 정책 순위 역시 마찬가지여야 한다.
김경욱kimk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