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영모 전발연 부연구위원  농업생산·경영유지 중요 수단
순창 장류원료계약재배사업단, 산업성장 선도 주목
조직화 형태·범위, 구성원 스스로 설정·추진 바람직

지역농업 발전과 지역 만들기를 위해 농업 생산자 조직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황영모 전북발전연구원 부연구위원은 GS&J에 게재된 ‘지역농업이 가는 길:농업생산자 조직화 사례’의 특강에서 이같이 밝혔다.

황영모 부연구위원은 “지역 또는 품목을 단위로 한 집단적·조직적인 대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가는 사례에서 농업생산자조직은 지역농업 구조재편은 물론 농업생산과 경영유지의 중요한 수단이자 기초단위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순창군 ‘장류원료농산물계약재배사업단’은 생산자 중심으로 전통 고추장 업체, 행정, 농협 등의 역할을 이끌어 내 지역농업 조직화는 물론 순창군 장류산업 발전의 실질적인 토대가 되고 있다. 완주군의 ‘땅기운유기농생산자회’도 친환경농업이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생산자조직의 단계적 발전을 이뤄내고 지역단위의 자원순환형 농업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또 임실군 ‘치즈마을’은 오랜 기간의 농업생산자조직 시도와 실패 경험을 바탕으로 느티쌀 작목반이 핵심역량이 돼 주민 주도의 활력있는 마을 만들기를 실천하고 있다.

황영모 부연구위원은 “순창은 고추장 원료생산과 가공을 연계시킨 생산의 조직화 사례이며 완주는 친환경 쌀과 축산의 결합을 통한 생산의 조직화를 기반으로 지역조직화를 모색하는 사례이고 임실은 친환경 쌀을 중심으로 한 생산 조직화와 마을개발이라는 지역 만들기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순창은 생산자 중심으로 지역업체를 참여시키고 이를 행정과 농협이 지원하는 형태이며 완주와 임실은 공동체운동을 토대로 농업생산자조직을 결성하고 단계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면서 “UR협상 이후 농업 구조개선정책이 본격화한 시기와 FTA 등이 본격 추진된 때에 조직화가 추진됐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사례를 볼 때 황영모 부연구위원은 지역농업 조직화는 지역농업 구성원이 스스로 설정·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황영모 부연구위원은 “순창의 경우 ‘순창=고추장’이라는 특성이 반영돼 군 단위가 범위가 됐고 완주와 임실은 오랜 기간의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활동영역이 범위가 됐다”면서 “지역의 범위는 지역농업 구성원이 설정하고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농민의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참여는 지역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담보하는 지역역량으로 축적돼 지역(농업)의 자립성과 주체성을 향상시키고 있다”면서 “농업생산의 조직화는 개별 농업경영체 생산활동의 한계를 극복하는 수준을 넘어 집단을 매개로 한 지역농업의 조직화로 이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현우leeh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