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물관리특위 심포지엄

[한국농어민신문 이우정 기자] 

강원특별자치도의회 물관리특별위원회는 기후변화로 인한 극단적인 가뭄과 호우의 반복에 따른 체계적이고 현장 중심적인 물관리 시스템을 모색하기 위해 2025 동해안지역 지속가능한 물관리 혁신 심포지엄을 진행했다.

강원특별자치도의회 물관리특별위원회는 18일 강릉과학산업진흥원 대강당에서 2025 동해안지역 지속가능한 물관리 혁신 심포지엄을 진행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극단적인 가뭄과 호우의 반복에 따른 체계적이고 현장 중심적인 물관리 시스템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된 이번 심포지엄에는 여중협 행정부지사, 김시성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의장, 손창환 강원특별자치도 글로벌본부장, 도·시군 의원, 학계관계자, 관련 공무원, 시민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송미영 박사는 ‘통합물관리체제에서 동해안지역의 물관리 방안’을 주제로 도암댐 수계 관리와 동해안권 물이용 연계 전략을 제시하며 지역별 맞춤형 통합물관리 방향을 제안했다. 이태관 계명대학교 교수는 ‘남한강 수자원 관리 및 갈등 해소 방안’을 주제로 한강수계기금의 효율적 활용과 도암댐 주변 오염원 차단을 통한 유역기반 갈등 해소 전략을 발표했으며 최계훈 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지표수-지하수 연계 동해안 지역 스마트 물관리 혁신화 방안’을 주제로 영동지역 물순환 데이터 통합, AI 기반 수요예측 등 스마트 물관리 체계 구축 로드맵을 제시했다.

이후 권혁열 위원장을 좌장으로 종합토론을 진행했다. 패널로는 심오섭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의원, 이종구 강원특별자치도 건설안전국장, 최충익 강원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신지훈 강원연구원 연구위원이 참석했다.

심오섭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의원은 “물 문제는 교육이자 시민의식의 문제”라며 시민 참여형 물절약 캠페인과 지역 물순환 거버넌스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최충익 강원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는 “물관리 실패는 사회적 불평등으로 이어진다”며 취약계층 보호 중심의 물관리 정책 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강릉 가뭄 이후 드러난 구조적 문제를 진단하고, 기후위기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통합물관리 정책·기술·거버넌스 구축 방향 등을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권혁열 강원특별자치도의회 물관리특별위원장은 “올해 강릉의 가뭄은 물관리 체계의 구조적 한계를 보여준 준엄한 경고였으며 기후 적응형 통합물관리 체계로의 전환이 절실하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라며 “오늘 심포지엄이 현장 목소리를 반영한 실질적 물관리 대안을 도출하는 전환점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강릉=이우정 기자 leewj@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