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농기계산업 살리려면정부는 제1차 농업기계화 5개년(1972∼1977) 계획 기간 중 농업기계 전문화업체를 지정하고 이후 수요자인 농업인에 대한 농업기계 구입자금의 융자 또는 보조금 지원, 외국산 기계의 수입 규제 등 농업기계 제조업에 대한 여러 가지 지원정책을 펼쳤다. 전년비 수요 40% 감소 ‘존립위기’이러한 정부의 지원정책 덕분에 국내 제조업체들은 외국산 농업기계의 조립생산 내지 복제 생산 단계를 거쳐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국산 고유 모델의 트랙터를 개발했고 최근에는 미국 등 선진국에 수출하는 단계로 발전하였다. 작년에는 농업기계 분야는 사상 처음으로 무역흑자를 기록함으로써 농업기계 산업이 수출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그러나 올해 농업기계의 수요가 전년도에 비해 40% 정도나 감소해 국내 농업기계 제조업의 존립이 위태로운 수준이다.또한 제조업체 대리점 간 또는 대리점과 농협 간 판매경쟁은 더욱 가열되어 할인판매, 끼워 팔기, 중고 기계의 고가 인수 등으로 유통질서가 더욱 혼탁해지고 과당경쟁도 심화되고 있다.제조업체들의 과당경쟁이 지속된다면 신제품 개발을 위한 기술개발 투자는커녕 품질 유지마저 어려워지고 최악의 경우 농업기계산업의 도산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입 농업기계에게 내수시장을 뺏기고 수출도 어려워질 것이며 결국은 대만의 예에서 보듯 국내 농업기계 제조업이 붕괴될 위험성이 매우 크다. 과당경쟁·A/S부실…농민 피해더욱 심각한 문제는 현재의 급격한 농업기계의 수요 감소와 제조업체의 과당경쟁이 지속될 경우 붕괴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피해는 결국 농업인에게 돌아간다는 데 있다. 국내 농업기계 제조업이 경쟁력을 상실하여 모두 붕괴될 경우 우리 농업인들은 농업기계를 과연 값싸게 구입할 수 있으며, 수입 농업기계의 사후봉사를 신속히 그리고 값싸게 받을 수 있을지 곰곰이 따져볼 필요가 있다.국산 농업기계는 외국산에 비하여 30∼50% 수준으로 가격이 훨씬 저렴하다. 그리고, 농업기계는 계절적인 사용으로 인해 사후봉사 수요가 일시에 발생하고 신속한 사후봉사가 따르지 못하면 큰 손해가 발생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국내 농업기계 제조업의 건전한 육성·발전을 위해 농업기계 제조업체, 학계, 농업인, 농협 등 모두 합심하고 지혜를 모으는 일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우수제품 제조사 위주 구조조정우선 제조업체들은 농협 및 대리점을 통한 과당경쟁을 지양하고 수요 감소에 대비하여 인력감축, 부품의 공동개발, 업종 전문화, 기술개발 투자 확대 등 경영합리화를 위한 구조조정을 단행해야 한다. 또한, 제조업체 대리점 및 단위농협은 신속하고 효율적인 사후봉사 체제를 갖추어 양질의 사후봉사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그리고 농업인은 가격, 성능 및 품질, 사후봉사에 관한 사항을 철저히 비교하여 기계를 구입함으로써 우수한 제품을 값싸게 생산할 수 있는 제조업체만이 시장에서 살아남아 국제 경쟁력을 갖추게 하고 농업기계 제조업체의 구조조정을 도모하여야 한다.마지막으로 정부는 농업기계의 안정적인 수요를 유지시키고 농가의 농업기계 구입 비용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융자지원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