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양돈과 낙농조합 등 축산관련 업종조합이 지난해말 현재 50여개에 달하고 있지만 무려 70% 이상의 조합이 경영부실조합인 것으로 드러났다.특히 IMF 한파에 따른 환율상승과 금리인상, 경기침체에 의한 소비위축 등국내외 축산여건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어 업종조합의 부실화가 갈수록 확산될 전망이다.이에 따라 본지는 업종조합의 경영부실 원인에 대한 집중 분석은 물론 이를 토대로 부실조합의 합병 등 업종조합의 경영혁신과 구조조정 방안에 대해 진단해 본다.지난해 양돈조합은 전체 조합 가운데 50%가 자본전액을 잠식당할 정도로심각한 경영부실을 초래했다. 1백93개에 달하는 축협중앙회 전체 회원조합의 자본전액잠식조합 비율 22.8%에 비해 무려 두배 이상 높은 수치로, 경영부실의 심각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따라서 양돈조합의 경영혁신과 구조조정의 필요성은 그 어느 회원조합이나업종조합보다 시급하다는 것이 양돈업계 전문가들의 분석이다.축협중앙회가 밝힌 경영부실 양돈조합(자본전액잠식조합)으로는 중앙회 회원조합 9개와 비회원조합 1개 등 모두 10개 양돈조합중 현재 서울경기양돈조합, 강원양돈조합, 전북양돈조합, 전남양돈조합, 경북양돈조합 등 5개(50%) 조합인 것으로 집계됐다. 물론 생산·가공·유통 등 모든 부문에서가장 견실한 조합으로 평가받고 있는 B조합마저 자본을 잠식당하지는 않고있지만 지난해 이후 점차 경영에 애로를 겪고 있다는 것이 축협중앙회 관계자의 설명이다.이들 양돈조합의 경영부실 원인은 일반 회원조합 처럼 조합임원의 경영능력 부족과 방만한 경영, 조합원의 주인의식 결여 등 일반적 요인외에도 여러 특수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바로 규모의 영세화를 부추기는 업종조합의 설립기준에 있다는 것. 겨우 2백인 이상의 농가만 참여해도 업종조합으로 허가를받을 수 있는 설립기준이 양돈조합의 소규모화와 이로 인한 경영부실을 초래한 원인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실제 축협중앙회의 9개 회원양돈조합의 평균 조합원수는 지난해 3백64명,강원양돈조합의 경우는 겨우 2백70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러한 조합원수의 부족으로 인해 돈육 생산·가공·유통, 사료 생산·판매사업 등의 규모도 역시 영세성을 면치 못해 경제사업의 경쟁력제고에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또한 이처럼 양돈조합이 소규모임에도 불구 무리하게 사업시설을 확장한것도 경영부실의 중요한 요인으로 꼽힌다. 돈육생산·가공·유통이나 사료생산 및 공급 등 관련사업을 적정규모 이상으로 설치, 고정투자에 대한 이자부담 등이 가중되고 있다는 것이다.여기에 경제사업의 경쟁력이 민간업체보다 뒤떨어진다는 것이 경영부실의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실례로 원료돈 구매시 조합원에 대한 지원위주의경제사업을 추진한 결과 구매단가를 민간업체보다 높게 책정, 커다란 자금부담을 겪는 등 효율적 사업추진을 하지 못한데서 이런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양돈조합의 경영정상화를 위해서는 먼저 업종조합 설립기준 중 현행 2백인 이상으로 되어 있는 조합원수를 훨씬 늘려야 한다는 것이 K모 전문가의 진단이다. 이를 통해 업종조합의 규모화를 꾀할 수 있을 뿐 아니라조합원인 양축가들의 권익보호와 소득증대를 도모해 나갈 수 있다는 주장이다.이와 함께 현재 회생불가능한 경영부실조합에 대한 효율적인 합병추진이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우선 경영부실조합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한뒤 업종별 또는 권역별 조합통합을 실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부실조합을 인수하는 조합에 대해서는 경영손실 발생가능성이 높은 만큼 축협중앙회 또는정부차원의 합리적 지원대책이 요구된다.아울러 추진사업의 경쟁력제고가 실질적 경영합리화의 열쇠라는 점을 깊이인식, 조합장을 비롯한 임원진이 양돈부문에 대한 전문 경영마인드를 갖는동시에 무자격조합원 정리, 직원의 전문성제고, 조합과 조합원간의 공감대형성 등 종합적인 개선대책을 마련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엄일용 기자>발행일 : 98년 7월 6일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