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 현금이 없는 양축농가들은 배합사료 공급받는 길까지 막혀 허탈해하고 있다.최근 배합사료업체들이 여신거래로 인한 적자운영에서 벗어나겠다며 일명‘악성거래처’를 대대적으로 정리하는가 하면 업체들끼리 ‘블랙리스트(부실농가 명단)’를 공공연히 주고받고 있기 때문이다.충남 보령지역에서 돼지를 사육하고 있는 이상록(45세)씨는 거래부실로 인근 사료판매대리점 사장들의 기피대상자다. 사료를 공급받기 위해 문을 두드리지 않은 곳이 없지만 대리점사장들은 연락조차 안될 정도로 ‘위험인물’로 간주되고 있다. 이씨는 현재 축협조합원을 통해 한시적으로 사료를 조달받고 있지만 이도 어려워 조만간 사업을 정리할 방침이다.IMF이후 여신기간을 지키지 못하는 농가는 급격히 증가했고, 업체들 또한판매실적이 줄어들고 있는데다 적자상태가 극에 달해 이들 농가들과의 관계를 정리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같이 양축농가들의 ‘무전유죄’에 대한 업체들의 ‘등돌림’은 어느정도 수긍이 가는 면이 없지않지만 업체들이 갖고 있는 블랙리스트 규모와 공조체제는 점차 규모화되고있는 터여서 그냥 지켜만 볼 수도 없는 문제다.정작 고객인 농가 보호나 서비스에 대한 투자는 인색했기 때문에 지금 같이농가가 어려운 시기에 ‘나몰라라’라는 식의 ‘자기 밥그릇 챙기기’에 급급하다는 따가운 시선도 면키 어려운 것 같다.농가들은 하나, 둘 줄지어 축사문을 닫고 있다. 업체들은 손쉬운 경영방법인 블랙리스트 작성에 앞서, 어렵지만 농가와 함께 버텨나갈 수 있는 대책을 먼저 고민해야 하지 않을까. 양축농가들의 사육기반이 무너진다는 것은사료의 소비시장 또한 잃게 된다는 점에서 사료업체는 농가와 ‘동병상련’의 자세가 필요한 때인 것 같다.<유영선 축산부 기자>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