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양축가들의 호당 사육규모는 현재 전업규모인 소 50두, 돼지 1천두에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어 축산업의 기본적인 채산성을 도모할 수 없으며 축산의 기업화를 위한 기본여건도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양축기술개발비, 종축개량비 등 정부 축산정책의 지원사업이 축산현실에 맞게 추진되지 못하는 등 미흡한 부분이 많을뿐 아니라 후진성 또한면치 못하고 있다. 이 결과 정부 지원사업의 효율성이 없을 뿐 아니라 빚더미에 나앉는 양축가들이 나타나고 있다. 도축·가공분야의 시설선진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도 제도적 장치를 완벽하게 마련한 뒤 지원대상자를 엄선해 지속적으로 지원했어야 함에도, 그렇게하지 못했기 때문에 파산하는 축산업자의 양산과 함께 정부의 재정적 손실을 가져온 것이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부 축산정책의 과감한 개선이 뒷받침돼야 한다. 먼저 축산현장의 현실성을 반영한 과감한 정책이 수행돼야 하며제도적인 장치를 확립하고 이 제도의 뒷받침 속에서 책임추궁이 따르는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 합리적인 경영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경영마인드의 도입과 이를 위한 의식개혁이 필요한 것이다. 특히 이제는 축산에 관계되는 모든 축산정보의 공유가 필요하며 필요한 축산지식을 성실하게 현장에 활용하는 경영마인드를 가져야 할 때이다. 가축방역에 대한 투자와 함께 가축의 질병과 생리 등에 과학적으로 접근하고, 유통개선을 위한 콜드체인시스템을 도입할 줄 아는 경영마인드를 가진사람, 분뇨처리시설의 필요성과 가축의 위해요소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함과동시에 축산업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진 사람이 축산업의 중심에 서야 한다. 물론 정부는 이러한 인재들을 선발, 과감하게 지원하고 축산진흥 투자계획에 따라 이들을 항구적으로 동참시킬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또 한가지 중요한 점은 향후 쇠고기와 돼지고기의 적정 자급률을 유지할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양축농가에 적정이익이 보장되고 양축이 기업화되어 수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계열화사업의 체계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과감한 투자와 사후관리가 절실히 요구된다.활발한 계열화사업을 통해 영세 양축농가의 경비부담을 줄여주는 대신 양축농가가 도축업자나 수출업체에게 양질의 원료육을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화가 이루어져야 한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양축가들도 농가에서 논농사, 밭농사 짓는 틈을 이용해 한 두마리의 소, 돼지를 키우던 재래식방법의 양축에서 탈피해 양축이 농가의 고수익과 외화획득률을 높이는 농업의 한 분야로 자리잡아가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이제 축산업도 지식기반경제 개념에서부터 출발해야 하고 이 기반을 통해축산업의 발전방향이 모색되어야 하며 기업화, 수출상품화, 기술농업화의중요성에 대해 축산관련 종사자 모두가 명심해야 한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