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보 ‘학교급식과 로컬푸드 운동’ 집중기획

“아이들이 싫다잖아!” 그렇다. 누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을까? 구구한 정부의 변명은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시민들에 의해 부정됐다. 한·미 쇠고기 협상서 불거진 검역주권 포기, 광우병 쇠고기 논란 속에서 국민들은,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학교급식을 비롯해 여러 경로를 통해 위험성에 노출돼 있다. 대체 어떻게 해야 할까? 정부가 꼼수만 두고 있다는 비난 속에서 무분별한 세계화에 대한 대안으로 친환경 학교급식과 로컬푸드 운동이 자연스럽게 떠오르고 있다.

아이들은 이미 미국산 쇠고기에 등을 돌렸고, 많은 선생님들이 아이들을 위해 거리에 나와 촛불 집회에 동참하고, 학교 급식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눈물겨운 노력을 하고 있다.

벌써부터 깨어 있는 학교들은 아이들에게 수입 고기 자체를 먹이지 않는다. 서울시 관악구에 있는 당곡중학교의 점심시간. 한창 자라나는 아이들은 종소리가 들리자마자 식당으로 달려간다. 이 학교는 운영위원과 교사들의 노력으로 쌀과 김치, 한우고기, 신선채소를  국산 친환경농산물로 쓰고 있다. 이들의 운동은 바로 인근의 학교들로 이어져 범위를 확대하고 있는데, 이런 운동의 배경에는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 뒷받침되고 있다.

특히 관악구의 사례는 모범적이다. 이미 일정부분 당곡중학교를 지원하고 있던 관악구는 구의회가 ‘친환경 급식에 필요한 식품비 등 경비를 지원한다’는 내용의 관악구 친환경 급식 지원에 관한 조례를 지난 1월30일 제정했다. 관악구 출신 시의원들은 여기서 더 나아가 지난 3월18일자로 ‘서울시 학교급식 지원에 관한 조례’를 개정, 내년 1월1일부터 시행하도록 했다. 조례는 정부가 WTO(세계무역기구) 협정에 위배된다며 버티는 것을 피해 ‘국내산 농수산물’ 대신 ‘유전자 변형이 되지 않은 안전하고 신선한 우수 식재료’를 공급하는 것으로 바꿔 사실상 우수 국내 농산물을 쓸 수 있게 만들었다.

이처럼 수입 농축산물을 쓰지 않고 우수 국내 농산물을 쓰는 운동은 최근 들어 더욱 탄력을 받고 있다. 총장이 직접 나서 학교 식당에서 친환경 농산물을 쓰는 상지대학교의 사례나 2003년 전국 최초로 지방자치단체의 학교급식비 지원조례를 만들어 이제는 모든 학교에서 친환경 농산물을 공급받는 나주시 같은 경우가 그것이다. 2012년부터 도내 1900여개 학교에 1등급 한우고기를 공급한다는 경기도를 비롯한 시·도의 노력도 돋보인다.

한국농어민신문은 이미 지난해 11월부터 ‘친환경 농산물로 열어가는 건강한 학교급식’이라는 주제로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국민들의 건강권이 새로이 대두 되는 지금, 한국농어민신문은 학교급식과 로컬푸드 운동에 관한 집중 기획을 통해 올바른 먹거리 생산과 소비의 중요성을 일깨우고자 한다.

이상길leesg@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