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파동이 진정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 안타깝다. 전북 김제를 시작으로 AI가 판명된 사례는 20일 현재 총 42건이지만 문제는 도시·농촌을 가리지 않고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어 양계농가의 피해가 가중되고 있다. 여기에다 질병관리본부의 무책임한 AI 위험 과장 발표가 양계농가의 분노는 물론 닭고기의 소비부진으로 이어지고 있다.

AI로 인한 양계산업의 총체적 위기는 사실 정부의 부실한 방역정책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부가 초기에 철저한 방역 대책을 수립, 신속하게 조치를 취했더라면 현재와 같이 큰 피해를 가져오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AI로 인한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한 현실적 이고 실천 가능한 방역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최근 정부가 당정협의를 거쳐 발표한 방역대책을 보면 실망하지 않을 수 없다. 정부는 나름대로 고민 끝에 마련한 것이라 밝히고 있지만 농가와 업계는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한 검토가 실질적으로 이뤄지지 않아 더더욱 그렇다. 이번 대책 중 하나인 재래시장의 생닭과 생오리 판매금지에 대해 지자체들은 상인들의 사후 생계에 대해 막막한 실정이라고 호소한다. 살처분에 대한 농가의 보상금은 일정부분 지원이 되겠지만 향후 이들 상인의 생계문제가 해결되지 못하면 오히려 음성적인 거래를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를 가져올 수 있다.

지금이라도 정부의 방역대책 문제점을 다시 한 번 점검하고 실천 가능한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AI 피해농가들이 다시 재개할 수 있도록 살처분 보상금 현실화 등 현실에 맞는 지원 대책을 마련해야 함은 물론 닭고기가 안전하다는 대국민 홍보를 지속적으로 해줄 것을 당부한다. 이것이 양계산업의 총체적 위기를 극복하는 길이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