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협-경종농협 연계 확산…16개소 참여, 2010년 50개 달성 무난

자연순환농업이 지역농축협의 가축분뇨 자원화 협약의 꾸준한 증가와 가축분뇨액비시용 조견표 제작, 작물별 관리기술개발을 위한 성공적인 시범포 운용 등 빠르게 정착되고 있다. 자연순환농업은 가축분뇨 퇴·액비 유기질 자원을 토양에 환원해 풍족한 토양을 유지하면서 농업생산성을 확보하는 경종과 축산의 유기적 관계구축이 핵심사업. 정부는 그동안 자연순환농업 정착의 걸림돌 제거를 위해 양질의 퇴·액비 생산을 위한 제도 개선과 가축분뇨처리시설 지원사업 확대, 퇴·액비 유통과 이용체계 개선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정부, 퇴·액비 완전 부숙…품질 신뢰도 제고공동 퇴비장 설치 확대·지역별 시범포 운영품질평가위 설치·가축분뇨처리시설 등 지원 ▲자연순환농업 정착=시·군 관내 1개 축협과 경종농협 1개 이상 조합이 연계해 회원축협은 양질의 퇴·액비를 공급하고 경종농협은 퇴·액비를 공급받아 우수농산물을 생산토록 자원화 협약추진을 대폭 확대되고 있다. 농협은 당초 농해 4개소를 목표로 했으나 최근 16개소까지 증가하는 등 자발적인 참여가 늘자 2010년까지 50개를 목표로 추진하는 등 그동안 꾸준한 홍보의 효과를 보고 있다. 또한 올해부터 시행중인 전국 50개 퇴·액비 시범포 사업 중간점검결과 강원도 화천의 한 농가는 "시범포 경종농가들은 양돈농가들은 분뇨처리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경종농가들은 양질의 축분유기질비료를 이용해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며 "액비를 살포한 시범포 옥수수의 경우 이삭길이가 대조구보다 1cm이상 길고 오이 옆폭도 0.5∼1.2cm긴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은 경종농가들이 가축 액비를 살포할 때 액비성분함량과 토양비옥도를 고려한 시비량을 쉽게 산정할 수 있도록 '가축분뇨액비시용 매뉴얼'을 만들어 보급을 확대하고 있다. 또 17개 작목을 대상으로 토양검정에 의한 시비량 산정방법과 적정 가축분뇨 액비시용량을 설정한 '휴대용 가축분뇨 액비시용 조견표'도 만드는 등 자연순환적인 가축분뇨 액비사용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있다. 하지만 아직은 경종농가들의 참여가 미흡해 경종농가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홍보 강화도 요구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 유기질 축분 퇴·액비가 화학비료를 대체할 수 있도록 공급가격인하방안을 모색하고 경종농가들이 품질을 믿고 찾을 수 있도록 고품질 퇴·액비 생산과 유통체계 구축도 요구되고있다. ▲왜 자연순환농업인가=가축분뇨 발생량이 특정지역에 편중되면서 퇴·액비 생산량이 적은 지역은 타 지역에서 공급받거나 화학비료 위주의 농업을 추진해 토양 산성화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또 일부 불량 저급품질의 가축분뇨 퇴비가 생산·판매되면서 작물의 고사나 생장장애 유발과 저급품 액비의 과다살포로 악취가 발생, 민원발생과 작물피해, 환경오염으로 지적받고 있다. 게다가 일부 인산 등 특정광물질이 과다 함유된 퇴·액비로 인한 토양오염 우려와 구리·아연 농도가 비료공정규격상의 중금속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퇴·액비부숙도 판정 기준 미확립으로 양질퇴비생산과 사후관리에 어려움은 물론 사용기준과 환경개선제 효능에 대한 검증, 정보제공 체계 미흡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정부 지원 정책은=이러한 문제 개선을 위해 정부는 생산단계에서 퇴·액비를 완전부숙시키고 악취와 유해물질을 제거, 퇴·액비 품질신뢰도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비료분류체계를 보통비료와 유기질비료로 개편하고 퇴비를 유기질비료에 포함시키는 것은 물론 퇴비와 액비 공정규격을 현실에 맞도록 재조정한다는 방침이다. 배합사료 중 총 인함량을 규제하고 인 분해효소제 첨가 유도와 구리·아연을 대체할 수 있는 첨가제 사용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각계전문가로 구성된 가축분 퇴비 품질평가위원회를 설치해 평가기준과 방법, 신청절차, 사후관리 등을 총괄토록 한다는 방침이다. 가축분뇨처리시설 지원사업도 지자체가 주관해 관내 경종·축산농가, 생산자단체와 함께 분뇨처리계획을 공동으로 수립한 지역에 지원한다는 것. 농가 규모별로도 구분해 소규모 농가는 공공처리시설을 활용하거나 자원화로 유도하고 중규모는 공동자원화 시설, 대규모농가는 자원화와 정화방류 등 자체적으로 분뇨를 처리토록 한다는 계획이다. 공동퇴비장 설치도 내년부터 매년 5개씩 선정해 확대해 2013년에는 99개소까지 늘리고 액비저장조도 2013년까지 매년 600개씩 설치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퇴·액비 유통문제는 지역 농·축협과 영농법인이 살포 주체가 되어 지역별로 특화된 자연순환농업을 추진하고 퇴·액비 살포 민간업체도 집중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과다살포 억제를 위해 퇴·액비 처방서 기준을 마련해 필지별·작물별 처방기준을 설정하고 경종농가의 퇴·액비 이용확대를 위한 지역별 시범포 운영의 효율성 향상에 주력한다. 특히 퇴·액비 대량 수요처 확보를 위해 사료용 총체보리 재배면적을 2010년까지 5만ha로 확대하고 푸른들가꾸기 사업 등 정부지원 농경지에 공급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영주leeyj@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