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철 제주취재본부장

한·미FTA 협상에서 제주감귤이 총체적 위기에 몰려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며 정부의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크다. 단일품목으로 가장 높은 조수입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2005년 기준 제주도내 농업조수입에서 감귤을 제외한 밭작물의 비중이 47.5%, 금액으로는 무려 5400억원에 이른다. 이는 감귤 조수입 6000억원과 맞먹는 것이다.
현장의 농민들은 “도대체 제주에는 감귤밖에 없다. 감귤이외의 작물은 누구하나 관심을 갖질 않는다”며 아우성이다. 사실이 그렇다. 감귤은 제주도의 대표적인 작물이전에 정치적인 작물이다. 최근 제주도가 발표한 종합대책안을 보면 감귤은 총 투자액 1조8900여억원 가운데 약 77% 정도를 국비로 충당하도록 돼 있는 반면 밭작물은 28% 정도를 국비로 충당하도록 해 결국 농가부담이 높아질 전망이다.
오는 23일 제주도를 방문하는 노무현 대통령의 제주방문 일정도 온통 감귤 일색이다. 한·미FTA로 인한 피해는 밭작물이 더 커질 수도 있다. 양배추는 발효즉시 관세가 철폐되고 5년 후에 철폐되는 당근, 그리고 마늘 등의 피해가 눈앞에 있다. 그동안 각종 지원정책에서 홀대받아왔던 제주의 밭작물을 더 이상 소외시켜서는 안된다.
김현철kimhc@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