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민들이 컴퓨터 활용으로 ‘생활의 득’을 본다는 것을 피부로 느끼게 되면 당연히 PC보급을 통한 디지털농업이 구현되지 않겠습니까? 특히 이제는 우리의 생활속에 디지털문화가 뿌리 깊이 자리매김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농촌에도 스며들 것으로 보입니다.”국회 디지털경제연구회 회장인 한나라당 이강두 의원(경남 함양·거창)은 농어촌의 정보화가 근시일 내 이뤄질 것이라고 주저 없이 전망한다. 그러나 농업·농촌의 정보화가 타 산업에 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산과 제도적 뒷받침이 필수조건이라고 지적한다. 15대 국회에서 농림해양수산위원으로 활동하던 시절의 농촌에 대한 관심과 전문성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이미 농업에서도 정보가 토지, 자본, 노동에 이은 제4의 요소로 그 비중이 커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디지털경제연구회는 디지털 기술을 농업분야의 생산, 유통, 경영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연구하고 타 산업에 결코 뒤지지 않도록 예산과 제도적 뒷받침을 적극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 이 의원은 디지털경제연구회를 통해 도농간의 정보격차를 줄이는 정책을 유도할 것이고, 올해에는 세미나, 토론회, 전시회를 통해 현실적인 디지털경제사회를 구축하는 의식전환 활동을 먼저 펼쳐 나가겠다고 계획을 밝혔다.이 의원은 디지털정보화 구축의 당장의 과제로 정보화교육을 꼽는다. “앞으로 농업정보화 전문교육은 농림수산정보센터 같은 전문적인 교육기관에서 집중적으로 훈련을 받도록 해야 합니다. 기본적인 정보활용 교육은 군단위 지역농업개발센터, 면단위 면사무소나 농협 등에서 누구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별도의 지원시스템을 갖추어 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의원은 또 초고속통신망의 조기구축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앞으로 정보인프라가 구축될 경우 농산물 유통 및 출하시스템, 전자상거래시스템 등을 통해 산지와 소비지간, 생산자와 소비자간 연계해 나가고, 이는 도시지역 못지 않은 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이란 지론이다.“정부에서도 농촌지역의 초고속망 조기 구축사업을 단순히 정보통신의 개념에서만 볼 것이 아니라 새로운 농업·농촌구조개선 사업의 하나라는 개념으로 접근하고 지원해야 합니다.” 현재 한국통신은 ADSL 시설을 지난 6월까지 60만 회선을 설치, 주요 읍지역이상 4백17개 전화국에 공급했고, 올 12월부터 전체 전화이용자수대비 82% 지역까지 공급하는 것으로 돼 있기 때문에 농촌지역의 초고속통신망은 도시지역보다 몇 년 늦게 구축이 완료될 것으로 보여 도농간 정보격차가 염려된다는 부연 설명도 이 의원은 잊지 않는다.농업정보화사업은 이처럼 교육과 인프라 구축을 기반으로 사후관리가 지속 추진된다면 농업경제 이익의 극대화가 나타날 것이라고 주장하는 이의원은 끝으로 농업인들의 의식전환을 주문한다. “농업분야야말로 정보기술이 시급히 도입돼야 할 분야이며, 차세대 농업기술은 정보기술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정보화에 대한 의식은 여유있는 생각이 아니라 필수적인 당면과제입니다.”유영선 기자 yuys@agrinet.co.kr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