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주체 역량 강화·자율적 참여 핵심”

한국농업경영포럼(이사장 성진근)이 지난달 27일 농협서울지역본부에서 참여정부의 지역균형발전전략에 맞춘 농촌지역 활성화를 위해 ‘농업클러스터 성공방향과 전략’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었다. 참석자들은 지역농업의 주체들인 산곀?연겙活?협력하고 지역의 잠재능력과 자원을 활용, 그 지역의 활성화를 도모하되 정부 주도보다는 경쟁과 협력을 통해 참여주체들이 스스로 역량을 높여나가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참여정부의 지역균형발전전략에 맞춘 농촌지역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책추진시스템을 지역농업클러스터 형태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중앙정부 권한 이양…지자체 자율성 확대산·학·관 유기적 협력 ‘잠재 자원’ 발굴을▲왜 농업클러스터인가=지역과 농업정책의 융합으로 농가소득 혁신과 지역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정책추진시스템을 지역농업클러스터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지역농업클러스터 정책방향’을 발표한 장태평 농림부 농업구조정책국장은 “인구감소 및 고령화, 개방화, 소비형태 변화, 농업성장 정체 등을 감안할 때 농업의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다”며 “앞으로의 농업은 기술이 있어야 하고 뭉쳐야 하며, 있는 것을 활용하면서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장 국장은 “일정지역의 특화된 농산업의 혁신을 위해 지역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농업인과 관련 산곀?관이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농산업결집체가 지역농업클러스터의 개념”이라며 “이는 하나의 사업이라기보다는 정책추진시스템의 전환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성공하기 위해서는=‘지역농정의 현황과 과제’를 발표한 김경량 강원대 농업자원경제학과 교수는 ‘지역농정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조건’ 중 하나로 지자체의 자율성 확대와 정책에 대한 지역 내 관련 주체들의 자주적이고 실천적인 참여를 꼽았다. 또한 김 교수는 △중앙정부와 지자체간 역할 분담 및 사무배분 △지자체의 재원확보 △지자체 농정조직의 인력강화 및 권력의 지역이양 등을 지역농정의 성공조건으로 제시했다.남양호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수는 ‘농업클러스터 성공전략’을 통해 “성공한 산업클러스터의 공통점은 연구개발, 생산, 가공, 유통, 시스템지원자 등의 다양한 주체들이 엉성한 형태의 생태계(군집)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라면서 “정부의 역할도 생태계를 조성하거나 유인하는 정책을 마련하는 수준으로, 직접적으로 개입하지는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농업클러스터 사례=이날 심포지엄에서는 농업클러스터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기 위해 ‘지리적 표시제 등록을 통한 보성녹차지역혁신사례’가 소개됐다.하승완 보성군수는 “보성군은 만성적인 지역경제 침체를 벗어나기 위해 녹차를 성장동력산업으로 선정, 녹차의 복합산업화를 추진했다”면서 “특히 국가가 지역특산물의 지역표시권을 배타적으로 보호하는 ‘지리적 표시’를 지난 2002년 국내 1호로 등록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지리적표시제 등록 이후 녹차생산기반확 충과 지속적 품질관리, 브랜드 개발 및 홍보 등을 추진했다”면서 “이결과 2003년 기준 녹차관련산업의 소득이 2246억원으로 미곡, 제조업보다 소득액이 많으며 관광객도 급증해 90년에 14만명 수준에서 2003년도에는 550만명을 돌파했다”고 전했다. 하승완 군수는 “녹차클러스터의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해 녹차재배면적 및 품종개발 등 녹차생산기반시설을 확충하고 산겳촿관의 협력도 강화해나갈 것”이라는 구상을 밝혔다.
서상현seosh@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