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이사장 윤여두)은 한국농업기계학회(회장 이용국)와 공동으로 ‘IMF체제하의 농업기계화사업 추진방향’ 발표회를 지난17일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개최했다. 이날 발표된 주제발표와 토론회를 요약 게재한다. <편집자 주><주제발표-농업기계화 추진방향>- 강정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최근 수도작농기계의 경우일부 소형농기계가 지역별로 과잉공급 현상이 발생했으나, 과수 원예 축산분야에서는 경운작업을 제외한 기계화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또 농기계산업은 과잉시설, 기술수준 저위,소량 다품목 생산방식 등으로 경쟁력이 취약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특히 부품의 해외의존도가 높은 대형 농기계는 환율상승으로 원가상승 압박을 받고 있고 금리의 상승은 제조원가를 높여 업계들의 재무구조를 악화시킬 것으로 보인다.향후 IMF 체제하의 농업기계화사업은 소득 수준이 낮은 농가를 위해 저리융자를 원칙으로 하고 쌀농사가 차지하고 있는 안보차원에서 쌀생산 전문생산자 조직 및 쌀전업농에 대해서는 일정기간 보조를 유지해야 한다.밭작물, 축산분야 기계화 촉진을 위해 생력기계화 효과가 큰 필수기계는신기술농기계로 확대지정하고 보조지원을 통하여 공급을 촉진해야 한다. 특히 농기계 가격안정을 위한 농기계 생산비축자금을 확대 지원해야 한다.<> 종합토론 <>농기계 정부보조 지속 추진을△허완영 농민=최근 농기계, 농자재값 인상으로 농민들의 영농의욕이 많이꺽었다. 정부가 추구하는 쌀 자급자족을 위해서는 농기계 정부보조가 지속적으로 추진돼야 한다.농가단위 지원체계로 전환을△박원규 농업기계화연구소 소장=향후 농업기계화는 노동생산성과 토지생산성 향상을 위해 농기계 공급체계를 현재 기종별에서 농가 단위로 바꾸고 원예 축산 등 기계화가 낮은 부문에 대해 정부 보조가 이뤄져야 한다.전체 농업정책과 호흡 맞춰야△박정근 전북대 교수=농기계수요 공급만 따지지 말고 농지시장, 농업인력시장 등을 같이 고려하고 농기계 관련 정책이 농업정책에서 전반적으로 진행돼야 한다.첨단 농기계 개발겫릴 시급△류관희 서울대 교수=현농정이 주곡의 자급자족, 친환경농업인 만큼 제초제 살포보다는 기계제초, 규모도 소형에서 대형으로 갈 것이다. 시설농업에있어 보행관리기에서 승용관리기로 교체된다. 첨단 농기계 개발, 보급에 지원이 필요하다.생산비축자금 확대계획△이병묵 농림부 생산지원과 과장=농기계보급 못지않게 수리용 부품확보와농기계 보관창고 등 사후관리도 중요하다. 밭농사용 기계화, 수출 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생산비축자금도 늘릴 계획이다.농업계 자생력 확보부터△조봉환 농림부 기획예산담당관실 서기관=우선순위와 효율성이 정부 투자의 기본이다. 농업계의 자생력을 길러야 한다.정책조정위해 각계의견 수렴△서덕모 예산청 농림해양예산과 과장=과잉공급, 유통비용 증가, 일시적 수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정책을 모색중이다. 현재 문제가 있는 30대과제를선정했는데 농기계문제도 이에 포함돼 있다. 성과를 면밀히 검토, 방향을재조정키 위해 각계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정문기 기자>발행일 : 98년 4월 23일
정문기jungmk@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