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산업 발전 워크숍

제주특별자치도의 김태환 지사는 감귤산업 발전을 위해 농민과 유통인, 소비자가 함께 노력하자고 강조했다.

㈔전국과실중도매인조합연합회(회장 유삼재)는 지난달 29일~30일 1박2일간 제주 한화콘도미니엄에서 전국 회원대표와 감귤생산자단체 대표, 제주도청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주도 감귤산업 발전을 위한 워크샵’을 개최했다. 이날 워크샵에서 허신행 전 농림부장관은 “한국에 거주했던 상당수 미국인들이 선물용 과일로 제주감귤을 손꼽고 있다”며 “한반도의 지역적 특성에 맞는 우수 감귤이 생산되는 만큼 이를 세계적 상품으로 육성토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감귤 생산조합이 뭉쳐 생산과 출하물량 조절로 창구를 일원화하고 생산기술 향상과 브랜드화에 주력해야 하고 자연식을 선호하는 시대에 맞게 소비자를 의식한 유통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소비자단체 대표로 참석한 강광파 소비자시민의모임 상임이사는 “요즘 소비자들은 값을 더 주고라도 안전한 농산물을 선호한다”며 “생산주체에 대한 신뢰성 확보와 유통의 투명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강 이사는 감귤 생산과정에서 이뤄지는 왁스코팅과 관련해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맛과 신선도, 안전성과 모양을 중시하기 때문에 유통인들 스스로 친환경 감귤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국과실중도매인조합연합회 유삼재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생산농민과 중도매인, 소비자가 공동으로 감귤 제값받기에 노력해야 한다”며 제주에서의 워크샵 개최 의미를 설명했다. #제주 감귤살리기 어떻게… 농장 폐원·유통조절명령제 시행소비자 신뢰제고·수취값 안정화지역책임제 도입…불법유통 차단 제주 감귤은 지난 1960년 이후 40년 이상 제주지역의 대표적 소득 작물로 자리 잡고 있다. 단순한 품목이 아닌 역사성은 물론 문화계승적 측면에서 제주 감귤의 중요성은 남다르다. 현재 전체의 2만ha 중에서 37%가 감귤이 점유하고 3만1000여 농가가 감귤재배에 종사하고 있다. 감귤은 제주지역에서만 재배되는 지역적 특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평균 경지면적이 0.7ha이고 전체의 67%가 2100평 이하의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1997년부터 2003년까지 7년간 과잉생산에 따른 가격폭락이 계속됐고 지난 2001년에는 재배농민들이 가격폭락에 대한 대책을 요구하며 도청에서 시위를 벌이는 초유의 사태도 발생했다. 제주감귤을 살리는 방법은 없을까. 관계기관은 물론 생산농민들의 고민은 2004년 현 김태환지사가 부임하면서 실마리가 풀리게 됐다. 김 지사는 도정사업 중 ‘위기의 감귤을 살리자’라는 것에 역점을 두고 감귤농장 폐원책을 마련했다. 한 해에 전체 750억원을 지원해 4300여 농가가 참여해 2500ha를 폐원시켰다. 물량으로는 제주시 전체 면적이라 할 수 있는 규모인 8만톤에 이른다. 지난 10년간 폐원규모가 2200ha인 점을 감안할 때 한 해에 2500ha의 폐원을 시도한 것은 가히 획기적 조치라 할 수 있다. 지난 2003년부터는 주산지만을 상대로 유통조절명령제가 실시됐고 이듬해인 2004년에는 소비지까지 전국적으로 시행 범위를 확대했다. 이를 통해 2003년에 3000억원, 2004년에는 6000억원의 소득이 높아지는 결과를 얻은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해에는 1/2 간벌로 생산비 수준 이상으로 끌어 올렸다. 올해도 간벌과 불량과 처리 등을 통해 농가 수취값이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올 감귤 예상 생산량이 57만톤에 ±2만톤이 전망되는 가운데 지난 10월20일부터 전국에 유통조절명령제가 실시되면서 안정적인 감귤 유통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유통조절명령제는 소비자의 신뢰를 확대하고 생산농민들에게 안정적 수취값을 제공한다. 또한 산지 밭떼기거래에서 발생하는 유통질서 혼란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감귤의 안정적 유통을 위해 사후관리의 일환으로 15억원의 예산으로 지역 책임제도를 도입, 불법유통에 대한 주야간 단속체계를 갖추고 소비지에서도 143명의 단속원을 위촉해 운영할 계획이다. 이밖에 소비자가 원하는 고품질 감귤생산과 유통을 위해 점적관수 시설 확대도 감귤의 당도를 현재보다 1브릭스 이상 높인다는 계획이다. 도는 또한 무가온 시설을 현재 2000ha에서 4600ha 정도로 50% 이상 늘리면 고품질 감귤의 유통이 일반화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도내 734개소의 영세 선과장을 9개의 거점대형선과장으로 자율통합 할 경우 당도별 선별과 규모화 유통이 가능해 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도의 고두배 친환경농수축산국장은 “제주도가 60년만에 특별자치도로 승격된 만큼 제주감귤을 세계적 명품으로 내놓을 수 있도록 생산부터 소비까지 총체적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감귤산업 육성의 의지를 피력했다.
홍치선hongcs@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