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육계산업이 공급물량과잉으로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관련업체들의 도산이이어지고 있어 근본적인 구조조정을 위한 정부지원체계의 전환이 시급하다.육계업계는 작년 하반기부터 올 상반기까지 생산비를 밑도는 장기적인 불황으로 대부분 육계업체들이 금융권이나 사채 등 외부자금을 동원, 적자 자금 막기에 급급한 실정이다. 이 과정에서 50여 계약사육농가를 관리하던 풀그린 식품이 이달초 부도를 냈고 이어 중소닭고기 유통업체들도 줄지어 도산하는 등 적자 휴유증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이에 대해 업계 전문가들은 전반적인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둔화로 관련업체들이 연속 도산하고 있다면서 특히 87년부터 3백억원이상의 계열화자금이지원돼 적정 수요이상의 과잉생산구조를 만들어 낸 것을 근본적인 원인으로지적했다.실제 95년 연간 4억5천만수(지육기준 68만톤 상당)생산으로 일일 1백20만수가 생산된 것에 반해 작년말 닭고기 처리가공시설은 전국 60여군데 도계장의 8시간기준 생산능력이 6억3천만수를 넘어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일일 1백20만수 소비량에 비해 일일 2백10만수 이상 처리시설의 용량은 매일 90만수이상의 처리용량의 도계시설이 과잉투자되고 있다는 지적이다.결국 최근의 육계업체들의 연속적인 도산은 현금유통이 시급한 육계업체들이 과잉생산된 물량처리와 자금확보를 위해 가격을 덤핑, 소비감소로 수요량이 줄고 있는 가격을 더욱 폭락시키는 악재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이에따라 자금난을 견디지 못한 업체들부터 차례로 부도를 내면서 정리, 육계업계의 과잉생산물량 공급량을 줄이는 일종의 산업구조조정이 반복되고 있는것으로 분석하고 있다.따라서 신규 계열업체에 대한 정부지원을 중단하고 육계산업을 규모의 경제구조를 이루도록 지원방법을 재검토해야 할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기존 육계계열업체에 지원되고 있는 시설자금을 운영자금으로도 일정부분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탄력적인 지원제도운영이 시급한 실정이다. 여기에 닭고기를 취급하는 업체들의 연속 도산으로 과잉생산량이 줄어들기를 기다리기 보다는 닭고기 해외 수출방법을 모색해 신규수요를 창출하는등 정부차원의 수출지원방법을 적극적으로 강구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있다.<이영주 기자>발행일 : 97년 7월 21일
이영주leeyj@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