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지난 92년부터 실시되기 시작한 낙농헬퍼제도가 최근들어 정착단계에 이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올바른 정착을 위해선 정부의 추가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축협중앙회에 따르면 96년말 현재 낙농헬퍼제도는 전국적으로 15개 축협조합, 32개소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용시간도 연평균 11일 정도로 매년 2~3일씩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우유협동조합의 경우총 9개 지도소에서 27개 헬퍼사업회가 운영중인데 회원은 총 1천50여명으로전체 조합원의 25%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5년여만에 정착단계로들어선 낙농헬퍼제도는 이용횟수가 시행초기인 92년 1천5백건에서 지난해엔6천2백여건으로 무려 4배이상 늘어났고 현재까지 약 22.9%의 이용률을 보이고 있다.그러나 이같이 헬퍼제도가 필요하다는 농가수는 급증하고 있는 반면, 헬퍼요원이 태부족하다는게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현재 축협중앙회에서 매년 2회씩 전임헬퍼요원을 교육시키고 있으나 63명에 대한 재교육에 지나지 않고있다. 즉 정기적인 신규헬퍼요원 교육계획이 세워져 있지 않고 63명중 결원이 발생될 때마다 충원하는 형식으로 요원증가는 당분간 없을 전망이다.또한 현재 1인1조형식으로 농가에 파출되고 있는 헬퍼요원들은 일손이 달려 올바로 도움을 줄 수 없기 때문에 보조헬퍼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일고있는데, 이에 대한 대책도 마련하기 어려운 입장이라는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이처럼 낙농가들에게 절실하게 파급되고 있는 헬퍼제도가 일부지역에서는자리를 잡으며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필요성만큼 전문헬퍼요원이 극히 부족하기 때문에 헬퍼제도의 홍보보다 요원확보가 급선무인 상황이다.이와 관련 관계전문가들은 “전문적이고 정기적인 신규요원 교육기관을 갖춰야하는 것은 절실한 상황”이라고 전제 “전임헬퍼요원이외에도 착유전문파트타이머, 착유아르바이트, 보조헬퍼 등의 확보문제도 축협차원이 아니라정부주도 아래 연구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유영선 기자>발행일 : 97년 11월 27일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