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농정과 지역발전의 당당한 파트너로 성장하고 있는 한농연 시·군연합회의 활동이 지역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더구나 자주성을 확보하려는 회원들의 노력이 조직애와 어우러져 다양한 형태로 결실을 맺고 있다.본보는 월 2회 정기적으로 각 시·군연합회의 특색사업을 발굴, 보도한다.이번 호는 첫 번째 순서로 단양군연합회 직판장을 살리기 위한 회원들의 단결력과 실천정신을 엿본다. 2백60여명의 농업경영인 회원들이 불과 보름만에 1억8천만원의 기금을 모금한 저력을 과시했다.일반 회원농협의 출자금도 이에 못 미치는 곳이 허다한 사정을 감안하면 엄청난 성과다. 한국농업경영인단양군연합회(회장 조순호)가 그 주인공으로 이들의 모금운동은 타 연합회에도 귀감이 되고 있다. 단양군연합회가 지난해 9월 15일을 목표일로 정하고 모금운동에 돌입한것은 지난해 8월. 기금모금의 직접적인 이유는 죽어가는 연합회 직판장을살리자는 취지에서였다. 군연합회는 지난 94년부터 단양읍내에 한우직판장을 개설한데 이어 96년부터는 매포읍에도 독자적인 건물을 지어 직판사업을 확대시켰다.처음에는 품질이 좋고, 시중 정육점과는 비교도 안될 파격적인 규모 때문에큰 호황을 누렸다. 그러나 97년 IMF 구제금융과 함께 찾아온 경제불황은이곳에도 예외를 인정하지 않았다. 매출액은 날로 급감했으나 이미 지어진건물의 금융부담은 사정을 봐주지 않았다. 이자에 이자가 더해져 연체이자까지 내는 상황에 이르자 지역에서는 단양군연합회가 파산할 것이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돌았다. 이같은 루머는 자금사정을 더욱더 압박, 연합회를 파산직전까지 내몰았으며, 더군다나 직판장의 건립과정에서 연대보증을 선 2백여명의 회원들은 졸지에 신용불량자로낙인찍힐 위기에 봉착했다. 연합회 임원들은 급했다. 정말로 파산하고 지역에서 농업경영인이라는 사실을 숨기면서 살아야 할 것인가? 아니면 정면돌파를 단행할 것인가? 이들은 농업경영인이라는 이름을 결코 포기할 수 없었다. 전 회원이 모금운동에나서기로 결의하고 전투(?)적인 모금운동이 시작됐다. 임원들은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논으로 밭으로 회원들이 있는 곳이라면어디든 뛰었다. 목표액도 세분화해서 배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모든 수단을 동원했다.전직회장 4명에게는 4천만원의 목표액이 떨어졌다. 이와 함께 현직임원들에게도 4천만원이 배정됐다. 그리고 8개 읍면회는 1천만원씩 8천만원을 모으기로 결의했다. 단성면의 회원 1인당 배정액은 71만원이었다. 여기에 더해회원들의 추가모금으로 1억8천만원을 보름만에 모았다. 지역에서는 깜짝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농업경영인에 대한 시각도 바뀌었으며, 이 결과 큰 위기는 넘겼다. 대출원금과 이자 등을 상환하고 나머지자금운용계획도 다시 세우는 한편 연합회와 직판장의 대표를 분리하는 등운영체계도 정비했다. 이번 일을 계기로 연합회가 새로 태어났다는 표현이적절했다. 조순호 회장은 “아직 모든 위기가 끝난 것은 아니지만 회원간의 단결력이 높아진 것은 물론이고 사업에 대한 철저한 경영마인드를 배우는 계기로도 작용했다”고 말했다. 또 “2002년 이후 출자배당이라는 조건에도 불구하고 모금운동에 협조해 준 회원들에게 감사한다”고 강조했다.<단양=조재상 기자>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