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민들 “상품성 높아 재배농가 많다” 비난일본 볍씨품종 도입과 관련 경기도와 농민, 농촌진흥청간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경기도는 지난달 23일 국립종자관리소로부터 일본벼 ‘고시히까리’와 ‘히토메부레’ 2품종을 도내 보급종자로 국가등록을 받았으나 농촌진흥청이 ‘검증 안된 품종’이라며 도입 반대를 주장하고 나서 마찰을 빚고 있다.이에 대해 경기도와 지역농민들은 “95년부터 농진청 산하 영·호남, 경기도 작물시험장과 일반 농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지역 적응성 시험과 식미검정을 토대로 국가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은 것으로 농진청의 ‘무검증’ 주장은 어불성설”이라고 반박했다. 특히 도는 “그동안 도내 농가들이 음성적으로 재배하던 고품질 일본벼를 합법화하고 우량 종자 선택권을 확대해 쌀 수입개방에 대비, 고품질 쌀을 생산하기 위해 추진한 것”이라며 “고시히까리는 국제종자검증협회(ISTA)의 보증서를 첨부, 수입 승인요건을 갖춰 이달 말께 일본 국립종자보급소로부터 후쿠야마산 볍씨 500kg이 도에 들어올 것”이라고 밝혔다.그러나 농촌진흥청 관계자는 “일본벼 품종 검증은 일부지역에서만 시행됐고 도열병, 도복에 취약해 자칫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면서 “국산 품종인 일품벼보다 수확량과 미질이 떨어지는 등 경쟁력이 뒤처져 외래 품종 도입은 신중히 재검토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이와 관련 농민 박모(49·여주군 점동면)씨는 “일본벼 품종은 소비자들부터도 밥맛을 인정받고 있고 상품성이 높아 농협에서도 고가에 수매하고 있어 재배농가들이 많이 늘고 있다”며 “농진청은 내면에 국산품종 보호라는 자존심만 내세우고 있다”고 비난했다. 한편 도내에는 현재 1000ha 가량의 일본 벼 품종이 재배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반면 국산 품종인 일품벼는 258.5톤 생산에 143.8톤만 공급돼 114.7톤의 물량이 남아 있고, 추청벼(일본벼 특화품종)는 1009톤 전량이 보급된 상태다. 경기종합=이장희 기자 leejh@agrinet.co.kr
이장희leejh@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