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 단속 심해 농작물 생산 어렵고 '친환경 관광농원' 운영마저도 규제“이래저래 농사를 못 짓게 하면 우린 어떻게 살아가란 말입니까.”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도마리 최후범(39)씨 농가. 그린벨트 지역으로 묶여 영농행위에 각종 제한을 받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최씨가 친환경농업을 활용한 관광농원을 운영하려 하자 행정기관은 이 마저도 제재하고 나섰다. 3년전까지만 해도 4000여평 부지에 한우(200여두)와 돼지, 닭 등을 사육했던 최씨는 그린벨트·상수원보호구역내의 축산행위 제한으로 중도에 포기하고 밭작물과 분재를 시작했다.그러나 밭작물도 행정기관의 농약·비료사용 단속으로 생산량은 줄고, 친환경농산물 이라고 해도 벌레가 먹고 외형상 품질저하로 제값조차 받지 못했다.최씨는 궁리 끝에 친환경농업과 연계한 관광농원을 운영키로 하고 농지를 개간, 일부는 둔덕을 만들어 산나물과 채소, 야생화 등을 심고 다양한 분재도 전시해 놓았다.돌이 많은 지역이라 어지럽게 널려져 있는 돌을 이용, 십여년전부터 농지주변에 담장을 쌓고 인근 계곡도 쾌적한 미관조성을 위해 쓰레기와 잡목들을 제거하고 야생화를 심는 등 친환경농산물 재배단지와 자연친화적 농업문화공간을 만들었다.농업기술센터에서도 농원내 야생화 단지조성을 위해 5000여만원을 지원했으며, 인근 농가들도 농원에 농산물과 화훼 등을 납품, 전시하며 광주지역 친환경농업 특화사업에 적극 동참했다.그러나 지난 1일 관광농원 개장식 이후 행정기관으로부터 ‘그린벨트내 관광농원 운영 불허’라는 조치를 받고 최씨를 비롯 지역 농가들이 허탈해하며 분노했다.최씨는 “그린벨트 지정은 깨끗한 환경보전이 목적임에도 친환경농업을 실천하며 지역농업을 살리기 위해 애쓰는 농민들에게 무조건적인 제재는 부당하다”며 “건물을 신축한 것도 아니고 인공적으로 자연을 훼손하지도 않았는데 획일적인 법 잣대로 농민을 못살게 하는 것은 더 이상을 참을 수 없다”고 말했다.이웃 농가 정모(48)씨도 “각종 규제에 묶여 재산권 행사도 못하고 1차 농업생산으로는 살기 힘들어 농업과 자연을 동시에 살리기 위해 농민들이 안간힘을 쓰고 있는데 지원 육성은 커녕 규제만 하고 있으니 그린벨트 지역 농민들은 이 나라 국민이 아니냐”며 “환경오염을 부추기는 숙박시설과 음식점, 공장들을 암암리에 들어서게 하는 것부터 철저히 규제하라”고 항변했다.이에 대해 도청 관계자는 “지역농민들의 고충과 심정은 알지만 그린벨트내 관광농원 운영 자체가 법으로 금지돼 있기 때문에 규제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광주=이장희 기자 leejh@agrinet.co.kr
이장희leejh@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