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광역시 농업인들도 다른 지역 농업인들과 마찬가지의 대우를 받아야한다”.광역단위 통합형 대도시 지역이란 특성으로 농업에 관한 분야가 정책적,제도적으로 소홀하게 다뤄지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광역시농업인 중심으로이의 해결을 위한 모색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지난 10일 한농연회관 2층 회의실에서 열린 한농연 광역시협의체 발전방향모색을 위한 간담회에서 참석한 광역시협의체(수석이사 이충환)소속 회원들은 “광역시 단위 농정시행의 소홀함으로 인해 타지역 농업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해를 받고 있다”며 적어도 형평에 맞게 취급돼야 함”을 강하게 주장했다.황창주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회장, 본보 황민영 사장, 김선영 농림부농촌인력과 서기관이 함께 참석, 질의·응답 방식으로 진행된 이날 간담회에서 회원들은 광역시 농업에 대한 행정적·조직적 대안마련을 촉구했다.특히 회원들은 농어촌진흥공사가 지원하는 농지구입자금 혜택 등 각종 구조개선사업시 같은 조건의 농업진흥지역임에도 불구하고 광역시만 제외되는일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음을 지적했다. 또한 대부분 광역시 농정은 지역경제국 산하 농정과에서 담당, “몇 개의 시·군을 통합한 광역시를 농정과소속 몇몇의 공무원이 총괄할 수 있겠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따라서 농정과에 수렴된 문제점들이 지역경제국을 통해 해당 시 등 상급기관으로 온전히 전달되지 않는 결과를 낳고 있다고 주장했다. 동시에 회원들은 “이러한불이익을 해결하고자 해도 해당 시에 농업인력 담당부서 부재로 인해 하소연 할 곳도 없다”며 농림부가 이러한 현안들의 해결에 주도적으로 나서줄것을 요구했다.하지만 지방자치행정에 농림부가 ‘협조관계’이상의 위상을 갖지 못하는행정구조상의 한계는 명쾌한 대책마련을 어렵게 했다. 실제로 김 서기관은“광역시에 농촌인력을 담당하는 부서가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들이 많은 것을 알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현실적으로 광역시에 농촌인력 담당부서를 만들 수 없는 상황이며, 농림부도 협조공문발송 이상의 강제를 할수 없다”고 토로했다. 김 서기관은 또 “가장 확실한 방법은 광역시농업인들이 각 지역에서 자치단체장 등에게 직접 요구하는 것”이라고 강조하기도했다.간담회 후에도 회원들은 비록 기대한 만큼의 결과는 아니었지만 “어떻게문제를 풀어가야 하는지 조금은 알았다”며 협의체 강화에 대한 대화를 나누기에 분주했다.발행일 : 97년 12월 18일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