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지난 95년 6·27 지방선거 당시 한농연, 전농 등 농민단체를 중심으로한 농업인들이 출마자 1만5천4백12명중 전체의 22.5%를 차지했다. 당선자중기초단체장의 10%, 광역의원의 13.1%, 기초의원의 23.2%가 농업출신이었다.이중 한농연은 모두 1백27명의 기초 및 광역의원을 배출했다. 전농 역시30여명에 이르는 지방의원을 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현재 이들이 지방농정에 참여해 많은 변화를 이끌고 있다는 것이 농업계,농정관계자, 농어민들의 대체적인 평이다.경기도청 농정국의 한 관계자는 “한농연 부회장 출신인 박용희 도의원의경우 농촌지도직 공무원들의 불합리한 임금차별대우를 밝혀내고 도정질의를통해 대책을 강도높게 촉구했다”고 전한다.김동열 강원도의회 의원은 어구보망장 사업을 도입해 어민소득증대에 기여했다고 출신지인 삼척시 어민들이 평하고 있다.농지관리대책을 바로 세울 것을 촉구한 사례도 많이 찾을 수 있다. 이에대해 농업경영인 출신 박병호 충남도의회 의원은 “농번기에 농업진흥지역안에서 관계 당국이 골재채취를 허가해 농민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 불법사례가 재발되지 않도록 농지보전대책 수립을 당국에 건의했다”고 밝혔다.영농조합법인의 부실한 운영 지적에도 이들 농업인 출신 의원이 돋보인다.경북도의회 이정백 의원은 영농조합법인의 사후관리문제를 지적, 도차원에서 특별조사위원회를 꾸려 실태를 조사해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한 것으로꼽히고 있다.충북도의회 최영락 의원은 충북지역의 60%이상이 산림이라는 특성에 주목,산림자원을 이용한 소득증대사업을 제안해 지역농민이 작목반을 구성 활용토록 했다.경남 함양출신 윤학송 도의원은 영세소농과 노인농가를 위한 농산물 순회수집제의 도입으로 지역농민들의 애로점을 개선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안동시의회 김성구 의원은 안동·임하댐 건설로 인한 농가소득 감소를 지적, 시의회 차원서 댐피해대책위원회를 구성 농가피해 보상을 위한 적극적인 활동을 펴고 있다.노영호 경기 안산시 의원은 “관내 농업인구가 1.8%에 불과하지만 이들의권익을 위해 포도밭 농약대와 포도봉지 지원을 촉구해 보조사업을 실시케했다”고 말한다.충남 부여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이아무개씨는 “농사를 져 봐야 농업을안다. 농민들 가운데서 지방의원들이 나고 군수가 나면 그래도 농업을 배신하지는 않을 것이다”고 뼈 있는 말을 한다.이처럼 지방의회에 진출한 농업인 출신 의원들은 일반분야 출신의 의원이제대로 짚지 못하는 농업 문제의 맥락을 파고든다. 또 현장활동을 경험을살려 문제점을 깊이있게 인식해 합리적인 농정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게 이들을 뽑은 지역주민의 여론이다.발행일 : 98년 4월 9일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