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신정부 출범 이후 농업계의 화두는 단연 농축산물 직거래다.그러나 여기에는 몇가지 짚고 넘어갈 문제가 있다.소비자조직과 연계되지 않은 직거래는 단발성으로 끝날 가능성이 많다는것. 생협법 제정을 서둘러 생산자와 소비자조직간의 조직적인 직거래를 뒷받침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갖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또한가지는 직거래 확대의 논리적 배경이 농업인의 소득향상보다는 물가안정논리라는 의구심이다. 물가의 주요 지표가 되고 있는 농산물가격을 잡지못하면 물가안정을 이룰 수 없다는 판단이 깔려있는 것같다. 그렇기때문에농업인들의 시각이 곱지 않다.직거래에 대한 현장 농업인의 시각은 “시작이 왜곡돼있는데 끝이 좋을리없다”는 불신이다.일선 농축협 직원들의 말도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중앙회의 지침에 따라 농산물을 싣고 대도시로 나가지만 여기에 드는 인건비와 비용은 순전히회원 조합의 부담으로 남는다. 이들은 수집과 배송까지는 책임질테니 판매는 중앙회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한다.또 농업인이 직접 참여하는 직거래장터를 확대하려는 것은 규모화를 추구하는 정책방향에도 위배된다. 자신이 생산한 농산물을 싣고 도시로 나와 판매할 시간이 어디있냐는 것이 농업인들의 비아냥이다.농업인이 직접 판매에 나서는 것이 아니라 체계를 갖추어 전문화해야 할필요성이 제기되는 것이다.물론 각종 행사를 열어 우리농산물을 도시민에게 가까이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 그러나 직거래의 목표는 매출실적이 아니라 농업인의 소득보장과 소비자의 이익을 동시에 잡는 것이다. 상부기관의 지시에 쫓겨 행사만들기에급급하고, 직거래 실적이 몇억원에 이른다고 자랑하는 현재의 직거래 확대,분명히 문제 있다.<조재상 충북 주재기자>발행일 : 98년 4월 16일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