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김경욱 기자] 

20일, 양돈단지가 밀집해 있는 경기도 포천시 소재 양돈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했다. 방역요원들이 ASF발생 농장으로 출입하는 차량들에 대해 소독을 실시하고 있다. 김흥진 기자
20일, 양돈단지가 밀집해 있는 경기도 포천시 소재 양돈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했다. 방역요원들이 ASF발생 농장으로 출입하는 차량들에 대해 소독을 실시하고 있다. 김흥진 기자

“언제 터질지 몰라” 두려움에
집도 못가고 농장서 두문불출
역학조사 결과 통보 못받아
발생경로 등 정보 없어 ‘답답’
정부 방역정책 인식전환 촉구 


지난 20일 경기 포천시 소재 1만2000여 마리 사육 규모의 한 양돈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했다. ASF가 발생한 지역은 양돈단지가 밀집해 있고, 해당 농장은 ASF 발생 이래 역대 최대 규모의 농장이다. 여기에 올해 들어서만 5건이 잇달아 나오며 양돈 농가들은 ‘언제 우리 농장에서 터질지 모른다’는 극도의 긴장감에다 ‘역학조사 결과도 제대로 통보받지 못하고 있다’는 정보 부재에 따른 답답함까지 토로하고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는 1만2742마리의 돼지를 사육하는 포천의 한 양돈장에서 폐사(50마리)가 발생, 경기도 동물위생시험소에서 정밀검사를 한 결과 ASF 발생이 확인됐다고 지난 20일 밝혔다. 

중수본은 ASF 확산 방지를 위해 초동방역팀과 역학조사반을 현장에 파견, 외부인·가축·차량의 농장 출입 통제, 소독 및 역학조사 등 긴급 방역을 실시했다. 발생 농장에선 긴급행동지침(SOP)에 따라 살처분도 진행했다. 또 농장 간 수평전파 차단을 위해 20일 오전 5시부터 22일 오전 5시까지 48시간 동안 경기·인천과 강원 철원 지역 돼지농장·도축장·사료공장 등 축산 관계 시설 종사자와 차량에 대해 일시이동중지명령(Standstill)을 발령했다. 방역대 내 80개 돼지 농장 및 발생농장과 역학관계가 있는 57개 농장에 대해선 정밀검사를, 발생 농장에서 출하한 도축장을 방문한 399개 농장에 대해선 임상검사를 실시했다. 

2019년 9월 국내에서 첫 ASF가 발생한 이래 이번 포천 사례까지, 양돈장에선 총 33건의 ASF가 발생했다. 2019년 14건이 발생한 이후 2020년 2건, 2021년 5건, 2022년 7건 등 양돈장에선 산발적으로 발생하던 ASF가 3월도 채 지나지 않은 현 시점에서 5건이나 발생했다. 더욱이 기존엔 ASF가 나오지 않았던 시기인 1~3월에 ASF가 잇달아 터지고 있다. 

경기 북부와 강원에서 잇달아 ASF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제대로 된 역학조사 결과도 밝혀지지 않고 있어 이 지역 양돈 농가들의 답답함과 두려움이 극에 달해 있다. 

포천에서 양돈장을 운영하는 김창섭 지앤알팜 대표는 “ASF가 언제 터질지 모를 두려움을 안고 집에도 가지 않은 채 농장에서 살고 있다”며 “농가들을 더 답답하게 하는 건 ASF가 어떻게, 어떤 경로를 통해 발생하는지 제대로 된 정보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답답해했다. 이어 “더욱이 포천 관내에선 ASF 확진 멧돼지가 나오지 않고 있는데 이를 곧이곧대로 믿는 농가도 없다. 멧돼지도 계속 목격되고 있다”며 “지금 사룟값을 비롯해 각종 생산비가 치솟는 상황에 양돈업을 계속 해야 하나 고민하는 농가들도 많다”고 전했다. 

방역·수의 전문가들은 멧돼지 포획책을 비롯해 ASF에 대한 정부의 전면적인 방역 정책 인식 전환을 촉구하고 있다.

최종영 한국돼지수의사회장은 “지자체별로 멧돼지 포획 건수가 천차만별이다. 정부가 지자체에 멧돼지 포획을 맡겨 놓고 있어 예산이 부족하거나 관심이 덜한 지자체에선 멧돼지 포획에서 손을 놓고 있다”며 “정부가 예방적 살처분 등에 들어갈 예산을 멧돼지 포획 예산으로 돌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멧돼지 포획책을 비롯해 예방적 살처분 및 천편일률적인 방역대, 예측 못하는 이동 제한 기간 등 ASF 방역정책에 대한 정부의 전면적인 인식 전환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김경욱 기자 kimk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