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김선아 기자] 

코로나 이후 2년 연속 증가
청년 귀농인 ‘역대 최고치’
1인 가구 늘어…지난해 74.5% 

2017년을 정점으로 감소세를 보이던 귀농·귀촌인구가 코로나19 발생 이후 2년 연속 증가했다. 1998년 IMF 금융위기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우리 경제에 충격파가 올 때마다 극명하게 드러났던 귀농·귀촌 증가 흐름이 이번 코로나 국면에서 다시 한 번 확인된 셈이다. 

이같은 농촌으로의 이주 흐름은 30대 이하 청년층과 은퇴 후 귀농을 선택한 베이비붐 세대가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여파, 농촌에 대한 관심 증가, 도시주택 가격 급등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게 정부의 진단이다. 앞으로 저성장 국면이 장기화되면 이같은 흐름은 더욱 견고해질 전망이어서 보다 정교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0대 이하 귀농인 수 역대 최대치 기록

23일 통계청과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2021년 귀농·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인 수는 1만9776명으로 전년 1만7447명보다 13.3%(2329명) 늘었다. 그 중 30대 이하 청년 귀농인은 1522명으로 전년 1370명 대비 11.1%가 증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40대는 3.7%, 50대는 8.4% 증가에 그쳤다.

청년농 증가는 청년들의 농촌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지난 2018년 시작된 청년창업농 영농정착지원사업(3년간 월 80만~100만원)의 정책 성과 등이 반영됐다는 게 농식품부의 설명이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연 1600명을 선발했고, 2021년에는 1800명, 올해는 2000명으로 신규 선발인원을 늘렸다.  

귀농인구 중 가장 비중이 높은 연령대는 60대로 36%(5203명)를 차지했는데, 지난해 4084명보다 1119명, 27.4%가 증가했다. 도시 거주 베이비붐 세대의 본격 은퇴가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했다. 베이비붐 세대는 1955~1963년까지 출생한 세대로 전체 인구의 14.6%, 712만명에 달하는데, 전체의 82.8%가 도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50% 이상은 농촌이 고향이다. 
 

1인 가구 지속 증가, ‘신중한 귀농’ 경향

귀농가구 특징을 보면 우선 1인가구 비중이 늘고 있다. 2017년 65.2%에서 68.9%(2018), 72.4%(2019), 74,1%(2020) 등으로 해마다 늘어 지난해에는 74.5%를 차지했다. 
평균 작물재배면적은 0.32ha로 전년의 0.33ha보다 0.01ha 줄었다. 0.5ha 미만 가구가 전체의 85.1%로 가장 많았고, 0.5~1.0ha 미만 가구는 11.6%, 1.0~20ha 미만 가구는 2.8%, 2.0ha 이상인 가구는 0.5%를 차지했다. 순수 자경가구는 63.9%, 순수 임차가구는 28.9%, 자경+임차가구는 7.2%로 나타났다.

농업에만 종사하는 전업 귀농인은 67.9%, 다른 직업활동을 함께 수행하는 겸업 귀농은 32.1%로, 겸업을 선택하는 ‘신중한 귀농’ 경향 역시 지속되고 있다.
 

귀농인 수 1위 의성, 고흥·상주·영천 순

귀농인 규모가 높은 상위 5개 시·군은 경북 의성군(229명), 전남 고흥군(224명), 경북 상주시(212명), 경북 영천시(182명)와 경기 양평군·전남 무안군·경북 김천시(173명) 순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는 이들 지역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동일권역내 또는 연고지 등 익숙한 곳, 영농기반 마련이 쉬운 곳, 시군의 정책 지원이 활발한 곳으로 귀농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실제 의성으로 전입한 귀농인의 전 거주지를 보면, 대구가 53.4%, 경북이 18.5%로 전체의 71.9%를 차지했고, 해당 시·군의 농지가격은 타지역보다 비교적 저렴해 영농기반 마련이 상대적으로 용이했다. 
 

영농정착지원금 지급금액·기한 확대 추진

현재 농식품부는 윤석열 대통령의 ‘청년농업인 3만명 육성’ 공약 이행을 위해 올 하반기 내 청년농의 준비-창업-성장 전 과정을 지원하는 ‘제1차(2023-2027) 청년농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농촌 유입에 실질적인 성과를 내고 있는 ‘청년창업농 영농정착지원사업’의 경우 지급기간을 현재 3년에서 준비기간(2년)을 포함해 5년으로 늘리고, 최대 100만원인 지원금도 더 인상하는 방향으로 기획재정부와 협의 중이다. 여기에 청년농의 영농정착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농지 문제 해소를 위해 ‘선임대-후매도’ 지원방식 도입도 검토 중이다. 

농식품부 정현출 농업정책국장은 “이번 귀농귀촌 통계조사 결과를 면밀히 분석해 필요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갈 예정”이라며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분들이 체계적으로 준비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적극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선아 기자 kimsa@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