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지난 1일 단행된 수산물 전면수입개방은 94년 마라케쉬 협정에서 결정됐다. 그러나 수협중앙회는 수산물수입개방 이후 어민들을 위해 대책을 수립하기 보다는 신용사업과 판매사업 등 수협중앙회만을 위한 사업에 치우쳤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관련업계에 따르면 수협중앙회는 수산물 전면수입개방이 몇 년전부터 예고됐음에도 불구하고 수입개방후 어민들의 생존권을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를고민하기 보다는 중앙회 차원의 수익사업에만 골몰했다는 지적이다.특히 소비자들의 수산물 기호의 고급화 추세를 반영, 가공사업을 적극적으로 확장, 생산어업인들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사업을 수협이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는 불만이다.실제로 수협의 이용가공사업은 수산물 판매사업을 보조하는 제빙사업과 냉동사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가공사업은 93년에 처음 시작한 반가공사업이 지금까지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불과하다.또 어업기술이 어가와 어업인에게 효과적으로 보급되어 어업인의 소득증가와 경영안정을 보장하는 어촌지도사업의 역할이 과거 어느때보다도 중요한시점이다.그러나 그동안 수협중앙회의 예산을 분석해 보면 오히려 지도사업부문의예산이 95년이후 계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수협중앙회의 수입개방 대책이 어업인의 신뢰를 잃고 있는 것이다.기르는 어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수협의 역할부문에 있어서도 충실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김양식의 경우 그동안 제일 문제가 되었던 것은 과밀식과 염산 사용으로인한 연안오염이다. 그러나 수협은 이를 적절히 조절, 해결하여 연안오염방지 및 김품질 향상을 도모, 경쟁력을 갖추는데 일조를 해야 함에도 불구,일정부분 과밀식과 염산사용을 묵인해 왔다는 관련 업계의 지적이다.이와 같이 수협은 어장 자원관리 구축을 통한 생산자 중심의 생산체제를이룩하지 못한 채 수산물 전면수입개방을 맞이해 어업인 및 학계의 비난을받고 있다.이에 대해 학계의 한 전문가는 “수협은 ‘수산물은 곧 수산자원’이라는인식을 가지고 집단적인 자원관리형 생산활동을 조합중심으로 전개시키려는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했던 시기에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기 때문에 개방 이후에 어업인의 불만을 사는 것은 당연하다”며 “이제부터라도수협은 협동조합의 근본취지를 살리는 노력으로 조합원의 신뢰를 회복해야할 것”이라고 그동안의 수협의 소극적인 수입개방 대책을 비난했다.<김정경 기자>발행일 : 97년 7월 3일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