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한·일어업협정의 추가 협상이 종결된 이후 부산지역 어민들사이에는 협정을 백지화해야 한다는 분위기와, 이제 게임은 끝났으니 정부의 대책을 예의주시하자는 분위기가 섞여 있다. 그러나 협정 백지화를 촉구하는 어민들은 줄어들고, 이제는 정부의 실질적인 피해 대책 및 새로운 어업진흥책이 더 중요하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전국어민총연합회(회장 유종구, 이하 전어련)는 지난 19일 오후 2시 부산공동어시장에서 협정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는 대규모 집회를 계획했다. 그러나 이 계획이 무기한 연장됐다. 이는 어민의 호응도가 낮았기 때문으로분석하고 있다. 이에 관련 임상봉 부산시수협장은 “협상 결과에 체념하는어민들도 많아지고 있지만 무엇보다도 전어련이 백지화 이후의 대안을 내놓지 못한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추가협상으로 인해 쿼터량 분배를 두고 업태별 분쟁이 표출화되기 시작했다. 지난 19일 오후 2시 부산 대형기선저인망수협은 긴급회의를소집했다. 지난 17일 추가협상에서 대형기저 소속 쌍끌이 어선 80척이 일본수역에서의 추가 조업이 허용됐지만 당초 대형기저 소속 외끌이 및 트롤에할당된 쿼터량 7천7백70톤에서 쌍끌이의 몫을 떼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조정하기 위한 회의였다. 그러나 4시간에 걸친 회의에서 아무런 결론을 내지 못했다. 외끌이 및 트롤어업에 종사하는 어민들은 웬 불청객이 나타나서 우리 몫을 뺏어가느냐는입장이었고, 쌍끌이 어민들은 우리의 몫을 내 놓으라는 것. 이수인 대형기저 수협장은 “그 동안 한 업종에 종사하던 어민들이 서로생계를 위협하는 적으로 변해버렸다”며 “앞으로 매년 되풀이 될 수밖에없다는 게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또한 일본 수역에서 조업이 제한된 업종의 어선이 연안으로 몰려옴으로써연안어업의 어민들과 충돌의 긴장감도 있다. 연안에서 소형 어선어업에 종사하고 있는 한 어민은 “근해어업 어선들이 이미 연안으로 몰려오고 있다”며 “정부의 조정이 없으면 조만간 지역 어민간 충돌이 불가피 할 것같다”고 말했다. 임상봉 부산시수협장은 “우리 조합원은 대부분 연안어업 어민들인데, 조합원들이 근해어업 어민들이 연안으로 몰려오고 있는 데 조합은 대책을 안세우고 무얼 하고 있느냐며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정경기자 kimjk@agrinet.co.kr>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