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축산물종합처리장 신설과 간이도축장의 도축장 승격 등에 따른 업체들간의 과당경쟁이 심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 도축가동률 저하에 의한 경영악화는 물론 도축가공업계의 붕괴마저 우려되고 있다.정부는 생산농가와의 계열화사업 추진과 냉장육판매업소와 연계를 통한 브랜드 유통체계 구축 등을 위해 오는 99년까지 축산물종합처리장 12개소를건설한다는 계획아래 94년 3개소, 95년 2개소에 이어 올해 7개소 대상자를선정했다.특히 국내 축산물유통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한다는 취지아래 총 12개 대상업체에 모두 1천1백23억3천7백만원이란 막대한 자금을 투입중이다. 또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1일 처리능력이 소 1백두, 돼지 1천5백~2천두의대규모 시설에만 국한했던 기존 지원방식을 올해부터 중규모시설인 소 50두, 돼지 7백50~1천두까지 지원하는 등 규모의 다양화를 유도하는 한편 시설이 특정지역에 편중되지 않도록 1개 시 동 1개소씩 선정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그러나 현 도축업체수가 도축물량에 비해 워낙 과잉이라는 근본적 문제점을 감안할 때 이같은 종합처리장 설치의 지역안배와 규모의 다양화와 상관없이 대형 도축시설이 신규로 설치된다는 것은 업체과잉 현상을 더욱 심화시킬뿐이라는 지적이다. 도축업계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현재 기존 도축장들의 도축가동률은 소 20~30%대, 돼지 40~50%대에 불과하다는 것. 이런 상황에선 도축장들의 경영합리화는 커녕 만년 적자에 허덕일 수 밖에 없다는게 도축장 관계자들의 주장이다.여기에다 최근 세수입 확대차원에서 지방자체단체들이 시설개보수가 안될경우 오는 97년말까지 폐쇄토록 돼 있는 35개의 간이도축장을 도축장으로승격시키고 있어 종합처리장을 포함한 도축장들의 도축물량 감소를 부추길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게다가 일부 지자체는 세수입만을 감안, 현대적 시설을 갖춘 기존 도축장과 인접한 간이도축장들 마저 무분별하게 도축장으로허가해 주고 있어 도축장간 과당경쟁에 따른 경영악화는 물론 전체 도축업계 발전에 막대한 타격을 주고 있다.실제 K도 D도축장의 경우 94년 정부로부터 7억, 자부담 10억원 등 모두 17억원의 자금을 투자해 1일 소 1백두, 돼지 7백두 정도의 도축능력을 갖춘최신식 도축장을 설치, 현재까지 운영해 오고 있으나 가동률이 소, 돼지 모두 20% 정도에 그치는 등 적자경영에 허덕이고 있다는 것. 그러나 지난해말차량으로 겨우 10~15분 가량 떨어진 인근에 위치한 Y간이도축장을 지자체에서 도축장으로 허가, 현재 시설개보수작업이 한창인데 만일 Y도축장이 정상가동되면 현재보다 가동률이 더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게 D도축장 C모 전무의 설명이다.결국 정부의 종합처리장 신설과 함께 세수입 확대 차원에서 지자체가 간이도축장을 무계획적으로 도축장으로 허가해 준다면 육류유통구조의 개선은기대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오히려 도축장들의 도산에 따른 유통체계의혼란 가중으로 인해 국내 축산물유통산업은 물론 축산업 전체의 경쟁력 확보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따라서 현재로선 국내 소 돼지의 생산 유통물량에 맞는 현대적 도축시설을갖추는 것이 축산물종합처리장을 포함한 도축업계 전체의 경영정상화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종합처리장의 신설보다 기존 도축장들의 시설개보수 또는 영세 도축장의 통폐합을 통한 권역화사업추진이 바람직하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간이도축장에 대한 지자체의 도축장허가시 세수확보도 중요하지만 시설개보수 정도와 도축능력, 다른 도축장과의 거리 등 사전에 철저한 조사분석이 요구되고 있다.<엄일용 기자>발행일 : 97년 5월 22일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