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생산투입재인 농기계 자재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여론이 확산되면서업계의 구조조정 등 개선방안 마련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농업인들은 특히 정부나 협동조합이 가격을 협상하면서 업계의 높은 생산비를 농민에게전가하는 면죄부를 주고 있다면서 업계 구조조정에 소홀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격적인 영농철을 통해 농업인 스스로 고비용구조의 업체를 확인, 시장에서 퇴출시키는 적극적인 방법도 필요하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있다.이봉수 김해시 농업경영인연합회장(44)은 “4개 종합농기계회사의 트랙터모델 수가 1백개에 가깝다”면서 “대량생산으로 인한 생산비 인하는 꿈도못 꿀 정도”라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정부나 협동조합이 이런 영세구조의 생산이나 유통을 구조조정하지 않고 있어 높은 생산비를 농민에게 전가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고주장했다. 또 박홍수 농업경영인 경남도연합회장은 “국내 종합농기계업체를 2개 정도로 줄여야 값싼 농기계를 구입할 기본조건이 될 것”이라면서“외국 농기계의 문호가 개방돼 있기 때문에 독과점 염려는 하지 않아도 된다”고 주장했다. 또 양윤경 한국농업경영인 제주도연합회장은 “농약회사의 가동율이 33%에 불과하는 등 기본적으로 고비용 구조이다”면서 “여기에다 판매비용 등의 절감부분이 늘려있다”고 주장했다. 양회장은 “환율변화에 따른 가격조정은 고비용구조 개선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고 강조했다. 최흥식 태백시 농업경영인연합회장(36)은 “비료회사들의 원자재부담으로인한 가격현실화 주장이 있으나 작년에 영농자재비가 큰 폭으로 상승한 반면 소득은 오히려 줄었다”면서 “비료회사의 생산원가를 정확히 따져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유택 농업인(경기 고양시 덕양구 오금동.46)은 농자재는 규격이나 재질 정도만 바꿨음에도 신제품이라며 가격인상을 하는 사례가 많고 전반적으로 업체들의 품질개발 노력이 저조하다고 지적했다. 일부 농업인들은 정부나 협동조합이 업계의 이해관계에 밀려 구조조정을하지 못한다면 “수요자들인 농업인이 고비용구조인 업체의 제품을 단체적으로 거부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안기옥 기자 ahnko@agri net.co.kr>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