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 국내 인구이동 통계 분석

[한국농어민신문 고성진 기자]

2013년부터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인구이동이 많아지다 2017년 이후 다시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출이 더 많아지는 추세로 바뀌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토연구원은 최근 국내 인구이동 통계를 분석한 결과를 담은 ‘지역 간 인구이동 특성과 정책적 시사점’이라는 제목의 국토정책 브리프에서 이같이 밝혔다.

2013년부터 비수도권 전출 늘다
2017년 이후 추세 전환
도시-농촌 간 이동도 비슷

▲인구이동 특징은=2010년대 말부터 인구이동 흐름이 이전과 달라진 것이 특징이다. 우선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인구를 보면 2013년부터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의 전출이 많아지다 2017년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유출이 더 많아진 흐름으로 전환됐다. 연령별로는 15세 미만과 35~84세는 대체로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15~34세는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순이동이 각각 높게 나타났다.

도시와 농촌 간 인구이동도 같은 양상이다. 2012~2017년 도시에서 농촌으로의 순이동이 높게 나타났지만, 2018년부터는 농촌에서 도시로의 순이동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2012~2017년은 ‘귀농귀촌 수요’가 사회 전반에서 증가하며, 이에 발맞춰 정부가 귀농귀촌 지원 정책을 적극 추진한 때였다. 연령별로는 35세 미만과 75세 이상은 농촌에서 도시로의 순이동이 높았고, 35~74세는 도시에서 농촌으로의 순이동이 높았다.

시도 간 인구이동 현황을 보면 서울·부산·대구·광주는 2012년 이후 순유입에서 순유출로 전환됐고, 세종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강원·충북·제주는 지속적인 순유입이 나타난 반면 전북·전남·경북·경남은 지속적인 순유출이 일어나고 있다.

연령별로 핵심생산인구(25~49세)의 인구이동지수는 경기 남부, 세종, 대전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고령인구(65세 이상)의 인구이동지수는 지방의 군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2013~2019년 이동사유는 
주택·가족·직업·교육 순

“지역소멸 예상되는 곳
주택·일자리 연계 정책 필요”

▲이동 원인은=2013~2019년까지의 이동사유별 이동 현황을 살펴보면, ‘주택’으로 인한 이동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약 40%에 해당됐는데, 다음으로 ‘가족’, ‘직업’, ‘교육’ 순이다. 가장 최근인 2019년의 경우 ‘주택’ 38.9%, ‘가족’ 23.9%, ‘직업’ 21.6%, ‘교육’ 4.7%로 조사됐다.

연령별 이동사유는 ‘직업’으로 인한 이동은 25~34세, ‘주택’으로 인한 이동은 55~64세, ‘교육’으로 인한 이동은 15~24세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 및 ‘교육’으로 인한 순이동은 서울시 내의 구에서 나타났고, ‘주택’으로 인한 순이동은 서울시 주변의 경기도 시 지역에서, 순유출은 서울시 내의 구 지역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보고서를 작성한 민성희 국토연구원 국가균형발전지원센터 연구위원은 “지역 여건뿐만 아니라 인구구조 변화 및 이동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인구유입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생산가능인구가 지속 감소해 지역소멸 등이 예상되는 지역에는 생산가능인구의 유입을 촉진하기 위해 주택 및 일자리를 연계한 맞춤형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민성희 연구위원은 또 “국가균형발전정책 추진도 해당 지역의 낙후도나 산업기반뿐만 아니라 인구이동 변화를 함께 고려해 정책을 추진해야 하고, 인구 전출·입의 급격한 변동이 특정 기간 지속될 경우 해당 지역을 인구이동 관심지역으로 지정해 특별관리하는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면서 “도시·군 기본계획 수립 시 계획 목표로서 계획인구 지표 외에 도시 현황 모니터링 지표로 인구이동 지표를 추가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고성진 기자 kosj@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