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이장희 기자]

경기연구원 ‘먹거리 전략’ 보고서
G마크 연계 안전기준 마련
먹거리지원센터 운영 등 계획


경기도민 3.9%(52만명)는 경제사정상 먹거리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내 취약계층은 5명 중 1명이 먹거리 부족을 호소, 공공급식 중심의 먹거리 순환체계가 절실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먹거리 전략 추진방향과 과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질병관리본부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16년)를 인용, 도민 3.9%(52만명)가 ‘먹거리의 양 부족에 따른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가운데 도민 0.6%(8만명)는 ‘경제사정상 자주 먹을 것이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먹거리 부족은 취약계층일수록 심각했다. 월평균 소득 600만원 이상에서는 먹거리 부족이 거의(0.1%) 나타나지 않았지만 100만원 미만에서는 21.9%가 ‘먹을 것이 부족하다’고 했다. 이러한 먹거리 부족은 영양 불균형 섭취를 유발, ‘날씬한 부자와 뚱뚱한 빈곤층’ 현상으로 이어졌다. 월평균 소득 200만원대는 비만율이 27.9%, 500만원 이상은 23.9%로 차이 났다. 다만 월평균 100만원 미만의 극빈층은 비만율이 25.0%로 분석됐다.

이에 이수행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경기도민 누구에게나 안전하고 건강한 먹거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공공급식 시스템 중심의 지역 내 먹거리 순환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지속가능한 먹거리 보장 시스템 구축을 위해 일정 규모 이상의 공공급식을 중점 시행할 것”을 제안했다.

학교급식, 복지시설 등 공공기관 중심의 공공급식 시스템 구축 이후 사업이 안정화되면 점진적으로 자부담 급식시설이 있는 공공기관, 관내 기업 및 병원 등으로 확대하자는 것이다.

이와 관련 도는 ‘도민 누구나 우수한 먹거리를 보장 받는 새로운 경기’를 비전으로 먹거리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이를 위한 4대 목표로 △취약계층 먹거리 부족 비율 41.3%에서 27.5%로 감축 △공공분야 지역농산물 공급 4천억 원에서 1조 원으로 확대 △아침 결식률 39.2%에서 33.7%로 감축 △31개 시·군별 먹거리위원회 구성 등을 설정했다.

끝으로 이 선임연구위원은 “경기도에서 운영 중인 G마크와 연계해 최소 수준 이상의 강력한 먹거리 안전 기준을 마련하고, 이 기준을 한 번만 위반해도 퇴출하는 시행규칙 및 사후관리 시스템을 마련해 소비자 신뢰기반을 강화해야 한다”며 “경기도는 도 차원의 먹거리통합지원센터를 조직ㆍ운영하고, 시·군은 독립적이고 차별화된 먹거리 전략을 수립·운영하거나 경기도와 연계해 추진할 것”을 덧붙였다.

수원=이장희 기자 leejh@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