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프로그램 2~20개월…1년 가까이 소득 없어 허덕

[한국농어민신문=이동광 기자]

대부분 직업 포기하고 교육 참여
일부는 온실임대 등 부채까지
교육수당·교통비 등 지원 목소리

교육 수료 후 실습할 수 있는
생산자조직 인프라 구축도 시급


정부는 청년창업농영농정착금 및 영농창업특성화대학 지원, 농수산대학 정원 확대, 스마트팜 청년창업 장기 보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반면 정작 청년이 실질적인 농업에 뛰어들면 수많은 난관이 산재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지속가능한 농업의 최우선 전제조건인 청년농업인 육성을 위해서는 보다 강력한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청년농업인들이 겪고 있는 애로사항과 대안을 4회에 걸쳐 살펴본다.

젊은 청년을 보기 어려운 농촌이지만 전남 나주 남평면의 단동형 필름온실에서는 꽃다운 젊은 청년 4명이 딸기 농사에 도전하고 있다. 이들은 한선웅 씨(39세), 김미현 씨(39세), 박병일 씨(37세), 이승환 씨(36세)로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지원하는 ‘스마트팜 청년창업 장기 보육 프로그램’에 참여해 기초이론 교육을 받고 현재 경영형실습 농장을 운영 중이다. 인근 농가에서 임대해서 사용한다. 660㎥(200평) 규모의 비닐하우스 6동을 임대해 총 면적 3960㎥(1200평)에서 딸기를 재배 중인데 혹한기를 잘 견디고 이제 작은 열매를 맺었다. 단동하우스이지만 복합환경제어 시스템 접목 등 다양한 스마트팜 관련 시설이 접목돼 있다.

전남 영광에서 농장으로 매일 출퇴근 하고 있다는 이승환 씨는 “전남대 이정현 교수님 지도로 딸기 생육 상태가 좋아 11월 중순부터 수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젊은 청년농업인들의 꿈이 조금씩 영글어 가고 있는 스마트팜 온실 이면에는 청년들의 고단함이 묻어 있다. 보육프로그램 교육기간이 2~20개월로 장기간 진행되다보니 청년들은 대부분 직업을 포기하고 교육에 참여했다. 이런 사정이다 보니 짧게는 이론 교육 2개월부터 최장 10개월 정도는 금전적 소득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사실이다. 더구나 일부 청년들은 온실 임대와 운영비 등을 충당하기 위해 부채까지 진 상태다.

이승환 씨는 “도시에서 생활하다가 참여한 청년의 경우 보육프로그램도 엄밀하게 따지면 직업훈련이라고 봐야 한다”라며 “이런 측면에서 청년들이 경제적으로 작은 도움을 받기 위해서는 교육수당과 교통비라도 일정부분 지원해 주면 좋겠다”라고 호소했다.

취업을 위한 일반 분야 직업훈련 교육은 대부분 기숙사비, 교육훈련 수당 월 20만원, 교통비 월 5만원을 지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광역단체인 제주도가 다른 지방에 개설된 직업훈련에 참여하는 제주 청년에게 1인당 최대 300만원 지원에 나섰다.

원래 청년들은 생산자조직에 취업하거나 운영하는 스마트팜에서 농업기술 및 경영실습을 받아야 한다. 농식품부도 생산자조직에서 청년농 채용을 독려하기 위해 인건비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 청년 고용으로 부담하는 인건비의 100%까지 최대 월 100만원을 6개월간 지원한다. 문제는 농업현장에 적당한 일자리를 구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결국 이론 교육이후 취업할 수 있는 생산자 조직 인프라 구축이 이뤄져야 할 부분이다.

이에 대해 농림축산식품부는 나름대로 현장에서 제기되는 문제를 수렴하기 위해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우선 농업소득이 낮을 수밖에 없는 보육프로그램 청년창업농에게 내년부터 영농정착지원금을 우선적으로 배정하기로 했다. 더불어 내년에 경영실습용 시범온실 설치를 마무리 하고 청년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동광 기자 leedk@agrinet.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