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산물 유통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토론회에선 관련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정보 제공의 중요성이 대두됐다.

기관별 분산된 정보 통합
빅데이터 관측 강화 등 제기
"생산·유통 관련 정보 넘어 
민간 재고물량까지 제시해야"


농산물 생산 및 유통과 관련된 정확한 정보와 통계를 바탕으로 농산물 수급안정 기능 강화를 목적으로 구축되고 있는 농산물 유통 종합정보시스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정확한 정보의 제공이 우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재차 제기됐다. 이 같은 정확한 정보가 바탕이 돼야 사전적 수급조절이라는 시스템 구축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지난 1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는 엄용수 자유한국당(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 의원이 주최하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주관한 ‘농산물 유통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토론회가 ‘원활한 수급조절과 가격안정 방안 마련’이라는 주제로 열렸다. 이번 토론회는 aT가 운영하고 있는 농산물 유통 종합정보시스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농업 통계 및 정보를 생산하는 관련 기관과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마련됐다.

류상모 농식품신유통연구원 연구실장은 토론회 발제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가격 및 관측의 강화와 중복 제공되고 있는 다수의 정보 및 기관별 분산된 수급 관련 정보를 통합해 활용할 필요성 등에 따라 농산물 빅데이터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이 필요하게 됐다”며 “이는 수급조절 및 이용자 요구에 부흥하기 위해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농산물 유통 종합정보시스템은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이하 농안법) 개정으로 구축이 가능하게 됐다. 이 시스템이 구축되면 수급 예측력을 높이는 동시에 생산자에게는 파종 전에 영농계획을 세울 수 있고, 이 정보가 소비자에게 전달되면 적정 가격에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선 현재 구축되고 있는 정보의 정확한 수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이번 토론회에서도 제기됐다. 시스템 구축 당시부터 수집되는 정보의 정확성은 물론 농산물 관련 정보를 생산하는 기관 및 단체와의 연계가 선행돼야 한다는 제안이 제기된 바 있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어떠한 정보가 얼마나 정확하게 수집될 수 있느냐가 시스템 구축은 물론 향후 활용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정보 수집의 범위가 단순히 농업 관련 기관의 공식 통계는 물론 가능하면 민간의 재고량까지도 파악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는 제안도 제기됐다. 더 나아가 기초 통계를 제공하는 생산자와 그렇지 않은 생산자들 사이에는 차등을 둬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김성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시스템에 담길 내용이 중요하다. 다시 말해 어떤 정보를 담을 것이냐다. 단순히 가격만 제시해서는 종합시스템이 될 수 없다”며 “따라서 생산, 유통과 관련된 정보 더 나아가 민간의 재고물량까지 이끌어 내느냐가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보 제공 주체들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용호 밀양농협 지점장은 “생산단계의 기초 자료수집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생산자들이 조사 주체에 신고를 하고 가능하면 주요 주산지의 전수조사를 실시하는 방안을 제안한다”며 “이 과정에서 무임승차한 농가에는 향후 가격폭락시 정부지원에서 제외하는 방안도 강구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박 지점장은 또 “이러한 방법이 사전적 수급조절에 해당할 것”이라며 “정부가 불가피하게 사후적 수급조절을 시행할 경우 사전적 수급조절에 참여 농가로 제한하는 것과 연계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영민 기자 kimym@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