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축산업의 악재가 첩첩산중이다. 위기상황을 뛰어넘어 생산기반 붕괴의 우려까지 제기된다. 당장 고령화와 후계농의 부족으로 축산농가의 감소세가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2000년 쇠고기 수입자유화가 이뤄진 이후 한육우 등 4개 축종 농가수가 66%나 급감했다.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진 것이다. 지난 17년간 연 평균 1만2900여 가구가 축산업을 그만뒀다. 소규모 농가들이 경영악화로 축산을 포기해서다. 고령화도 심각해졌다. 2000년 65세 이상 축산농가가 15.3%였으나 2017년 46.6%로 높아졌다.

여기에 국내 축산물 자급률은 날로 낮아지고 있다. 수입 축산물에 시장 주도권을 빼앗긴 것이다. 한우의 경우 2015년 자급률이 40.9%에서 2016년 33.8%, 2017년 35.2%까지 하락했다. 돼지고기도 마찬가지다. 2010년 초반 80%대를 유지했으나 2017년 70.7%로 70%대까지 무너졌다. 우유 자급률 역시 2017년 49.3%로 매년 추락했다. 더 큰 문제는 앞으로 관세철폐로 수입육과의 가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도시민들의 수입육 거부감이 줄어드는 점이다.

특히 구제역과 고병원성AI 등 악성 가축질병도 장애 요인이다. 이는 국내 축산물의 부정적 인식으로 이어져 소비감소 등 후폭풍이 만만치 않다. 최근에는 중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해 국내 축산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따라서 축산업이 현재의 절체절명 위기를 벗어날 수 있도록 산·학·관·연이 힘을 합쳐 고민하고, 대책을 만들어야 한다. 가장 시급한 것은 미허가 축사 적법화다. 축산업계가 신임 농식품부장관에게 거는 기대가 큰 이유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