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쓰레기 문제가 전 세계적인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몇 달 전, 스페인 남부 해안에서 발견된 고래 뱃속에서 30kg에 달하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나왔다는 소식은 우리에게 해양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그대로 보여준다. 세계 각국 정부도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다. 지난 6월 부산에선 APEC(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 17개 회원국 해양쓰레기 담당자들이 모여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APEC 해양쓰레기 가이드라인’ 마련을 본격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 해양수산부는 이달부터 4개월 간 각 수협(대형기선저인망수협, 서남구기선저인망수협, 여수수협, 한림수협)과 함께 ‘먼 바다 해양쓰레기 수거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연안이나 항만 중심의 쓰레기 수거사업에서 사업 범위를 넓힌 것이다. 사업 참여 주체들에겐 해양쓰레기 수거 비용이 지원되며, 실적이 우수한 곳엔 정부포상도 이뤄질 예정이다.

물론 해수부와 수협을 중심으로 연안지역 정화활동을 위한 노력은 수년 째 이어져 오고 있다. 연안지역 해양쓰레기가 어민들의 조업활동을 방해하고 어촌 경관을 해치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 노력이 관련 기관 및 단체의 노력으로 머물러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연간 약 18만톤의 해양쓰레기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중 수거되는 양은 7~8만톤에 그친다. 또 해양쓰레기 중 70%는 육상으로부터 발생한 것이다. 해양수산부나 수협의 쓰레기 수거 활동만으론 한계가 있다. 육상에서부터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고 바다 유입을 최소화해야 하는 것이다.

해수부도 생분해성 어구 보급에 더욱 속도를 내야 한다. 생분해성 어구는 이미 10여 년 전부터 개발돼 현장에서 쓰이고 있지만, 최근 5년 평균 보급률은 5%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다에 떠돌아다니는 해양쓰레기는 해양생물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어업생산성을 떨어뜨리고, 선박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어촌지역은 연안으로 밀려드는 해양쓰레기에 몸살을 앓고 있으며, 국가 간 외교 현안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앞서 언급한 고래의 죽음에서 보듯 우리가 살아가는 지구 환경에도 이미 막대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해양쓰레기 문제가 더 이상 환경단체나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삼고 살아가는 어민들만의 문제가 아닌 것이다. 해양쓰레기로 오염된 바다는 생태계 교란과 함께 언제든 직접적으로 우리 식탁을 위협할 수 있다는 점도 기억해야 한다.

해양쓰레기 문제가 전 세계적 이슈가 되고 있는 이 때, 정부가 발 벗고 나서 해양쓰레기 문제를 고민하고 범부처 차원의 해결방안을 찾아야 할 시점이다.

전국사회부 김관태 기자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