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김포에서 구제역이 추가로 발생했다. 지난달 26일 김포 돼지농가에서 첫 발생한 지 일주일 만이다. 이번 주를 최대 고비로 보고 ‘소, 돼지, 염소 등 우제류 동물의 농장 간 이동금지’조치를 9일까지 연장한 정부와 방역당국은 허탈함과 곤혹감에 싸여있다. 소는 지난해 2월 충북 보은, 전북 정읍 이후 1년 1개월, 돼지는 2016년 3월 충남 홍성 이후 2년 만에 구제역이 발생하자 정부 대응은 비교적 신속했다. 위기 경보단계를 ‘주의’에서 ‘심각’으로 격상한데 이어 지난달 29일 국가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고 ‘구제역·AI중앙사고 수습본부’를 가동하고 심각단계의 전국 방역조치를 유지시켰다. 경기·인천·충남지역 돼지를 대상으로 한 1차 백신 접종도 끝났다.

하지만 구제역 추가 발생으로 정부 대응의 헛점이 제기된다. 초기 대응이 부실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구제역 바이러스 잠복기가 최대 14일인데다 항체가 형성되기까지 1~2주 소요되는 점을 고려한다면 확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현재의 느슨한 방역체계로는 추가 확산을 막기 어렵다.

지금까지의 방역 체계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는 물론 발생원인과 유입 경로에 대한 역학조사를 신속히 벌여야 한다. 부족한 A형 구제역 백신 수입도 계획보다 서둘러야 할 것이다. 현행 O형 위주의 구제역 백신정책도 재검토돼야 한다. 방역당국은 더 이상 구제역 확산 방지의 골든타임을 놓쳐선 안된다. 2010~2011년의 ‘구제역 대란’이 재연되지 않도록 철저한 방역체계를 구축, 실행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