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중앙청과 중도매인 생존권 사수 및 생산자 소비자 권익보호를 위한 제5차 궐기대회’엔 시장 유통인은 물론 생산자와 소비자단체, 시의원들도 참석해 노은시장 활성화를 위해 힘을 보탰다.

대전중앙청과 중도매인 궐기대회
개장 당시 축협 입점 약속 외면
종합도매시장 발전 계획도 차질
교통영향평가 재검토
중도매인 점포 균등배분 등 촉구 


“우리가 찬바람 속에서도 생업을 놓은 채 계속해서 집회를 이어나가는 건 여러 현안이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더 많이 찾을 수 있는 활기찬 공영 도매시장을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대전중앙청과 중도매인 생존권 사수 및 생산자 소비자 권익보호를 위한 궐기대회’가 지난달 29일 오후 대전시청 북문광장에서 열렸다.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위치한 노은농수산물도매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지난 10월 30일 시작된 궐기대회가 한 달 만에 5회째를 맞은 것. 그만큼 노은시장 유통인들의 목소리는 간절했다.

이날 궐기대회에서 대전중앙청과와 중도매인들은 2001년 오정동에서 불모지나 다름없었던 노은동으로 이전한 것은 대전시의 시장 활성화를 위한 로드맵과 지원 약속이 있었기 때문이었음을 강조했다. 당시 대전시는 노은신도시를 비롯한 유성구 인구 증가 등으로 2006년이면 노은시장 물량이 오정시장 물량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유성구 인구는 2001년 17만3509명에서 2017년엔 34만7266명으로 두 배가 증가했고, 당시에는 예상 못했던 세종시까지 지근거리에 건설됐다. 그러나 노은시장과 비슷한 시기인 2000년대 초반 개장한 인천과 광주, 부산의 제2도매시장이 50% 내외의 도매시장 농산물 점유율을 보일만큼 성장한 반면 대전의 경우 노은시장의 농산물 점유율은 37%에 머물러있다.

이렇듯 이전 후 17년간 시장이 정체되고 있는 중심에 대전시의 안일한 행정이 자리 잡고 있다고 노은시장 유통인들은 주장하고 있다. 대표적인 게 구색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것.

송성철 대전중앙청과 회장은 “이미 2001년 개장 당시에 축협 입점은 예정돼 있었고, 2002년 대전시에선 노은시장을 종합도매시장으로 발전시키겠다는 중장기 계획도 약속했지만 여전히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시장 구색이 갖춰져 있지 않는데 생산자는 물론 식자재업체 등 소비자들이 시장을 찾겠느냐”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이들은 △차량 통행이 불가한 교통영향평가 재검토 △중도매인 점포 균등 배분 △농안법에 의거한 하역 업무 조치 △우천·화재 시 대책마련 △토지 점용료 폐지 등을 대전시에 요구했다. 이런 이들의 요구가 12월 31일까지 관철되지 않을 시 중도매인들은 허가증을 반납하겠다고 배수진을 쳤다.

이번 집회엔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와 한국농촌지도자연합회, 한국농업유통법인중앙연합회, 노은1동주민자치위원회 등 도매시장의 존재 이유인 생산자와 소비자 단체들이 대거 참석해 힘을 보탰다. 시의회에서도 노은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대책 마련을 약속했다.

김지식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장은 “현장에서 일하는 유통인들의 말과 농업의 생명 가치를 지켜가면서 하루하루 피땀 어린 농산물을 키워가는 생산자의 말에 대해 대전시는 귀를 기울여야 한다”며 “이제는 대전시의 침묵에 대해 전국의 수많은 생산자들은 묵과하지 않을 것이다. 여러 여건으로 어려운 농민들에게 또다시 피해가 가게 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대전시의회의 조원휘 부의장은 “노은시장 유통인들이 주장하는 사항들이 대부분 내년 사업계획에 담겨 있다. 꼭 사업이 관철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고, 송대윤 의원도 “대전시도 노은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잘 알고 있을 텐데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해) 답답한 마음이 크다. 시의회에선 타 시장과의 차이점을 꼼꼼히 살펴 대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김경욱 기자 kimk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