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인한 대규모 살처분 등
경제적 리스크 매우 높아
농가 초기투자비용 큰 부담
정부 재정적 지원 확대를


최근 AI와 살충제 달걀 파동을 피해 주목받고 있는 동물복지농장이 기존 밀집사육농장보다 경제적 효율성에서도 우월하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살충제 달걀 파동과 동물복지농장 도입의 필요성’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통계청 자료를 활용 손익흐름을 경기도 양계농가에 적용한 결과, 밀집사육농장의 순 현재가치(약 1785억원)는 동물복지농장(약 637억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대비 효율을 가늠할 수 있는 내부수익률(IRR)도 밀집사육농장(23.2%)이 동물복지농장(13.36%) 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AI 발생으로 야기되는 경제적 손실(살처분 비용)을 고려해 경제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달랐다. 순 현재가치는 밀집사육농장이 약 997억8000만원으로 동물복지농장 637억원 보다 높았지만, 내부수익률은 동물복지농장이 13.36%로, 밀집사육농장 9.98% 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비용-편익비(B/C Ratio) 또한 동물복지농장(1.028)이 밀집사육농장(0.996)보다 높아 동물복지농장의 경제적 효율이 월등히 뛰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이은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동물복지농장으로 전환시 투자비용의 증가가 부담돼 농장주는 도입을 꺼려하고 있고, 특히 정부는 ‘동물복지 5개년 종합계획’에서 ‘직불제’를 통해 이에 대한 지원계획을 세웠으나 실제로 지원실적은 전무한 상황”이라며 “동물복지농장의 설립 또는 전환에 대한 지원을 위해 정부의 예산확보와 실제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밖에도 △동물복지 준수여부 모니터링체계 구축 △농가에 대한 동물복지 관련 정기적 교육 의무화 △동물복지농장에 대한 인식제고 및 공감대 형성을 위한 대국민 홍보를 제안했다.

이 연구위원은 “경기도에서는 현재 시행 중인 ‘가축행복농장’의 확대 및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며 “관련 조례의 개정을 통해 가축행복농장에 대한 기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수원=이장희 기자 leejh@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