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인구가 해마다 증가하는 가운데 이들의 안정적 농촌정착과 전문 농업경영인으로 육성하는 정책이 강조된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 인구는 49만6048명으로 소폭 증가했다. 특히 30대 이하 젊은 층과 여성층의 귀농·귀촌이 증가하고 있어 이들에게 맞는 정책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실제로 30대 이하 귀농·귀촌가구는 2014년 13만1023명에서 지난해 14만4934명으로 10.6% 증가했다. 여성 귀농도 같은 기간 3246가구에서 4145가구로 늘었다. 귀농·귀촌은 최근 3년 동안 연평균 5% 정도 증가하는데 베이비부머 세대의 본격적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정부도 이에 맞춰 다양한 정책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청년세대(2030)와 중장년 세대(5060) 중장년 세대를 구분해 맞춤형 지원에 나선다. 청년세대에게는 후계인력으로 육성될 수 있는 품목 전문기술 교육을 확대하면서 영농 창업정보를 집중 제공하는 한편 농지와 주택 및 귀농창업 자금을 우선 지원한다. 중장년층은 안정적 정착을 위한 교육과 지역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일자리를 알선하면서 다양한 공동체 활동 참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귀농귀촌인과 주역주민 간 융화를 위한 ‘사랑방’이나 ‘동아리 모임’ 등의 활성화로 지역공동체 활력을 유도하는 것과 맞물린다. 

특히 청년 귀농인을 농업의 미래 첨단 농업인으로 육성하는 차원에서 올해부터 4차 산업형 귀농교육을 새롭게 운영키로 해 주목된다. 농업용 드론 자격증 취득과정과 2030 농산업분야 청년 창업과정 등의 특화교육이 진행될 예정이다. 하지만 귀농·귀촌인들의 농지규모가 0.4ha로 작고 농지 임차율도 35.1%에 달해 자가 영농과 적정 재배 규모화가 시급하다. 이를 위한 지원정책을 통해 안정적 귀농·귀촌과 농업·농촌의 활성화로 연계하는 지혜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