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의심 유채 12.1톤, 설명 빠져"

"GMO 오염지, 표찰조차 없는 상태로 허술 관리"

강원 태백에 이어 충남 홍성에서 파종된 사실이 확인된 LMO(유전자변형생물체) 유채 종자와 관련해 정부가 공식 입장을 밝혔지만, 논란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정부 발표를 요약하면 2016년 1월부터 종자용으로 수입이 승인되지 않은 LMO 유채 종자 32톤이 국내로 들어온 것을 확인, 이에 대한 폐기 등 관련 조치가 이뤄졌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민간 진영에선 여러 의문점을 제시하며 철저한 진상 조사를 촉구하고 있다.

시민사회 및 농업 단체 등으로 이뤄진 GMO반대 전국행동은 ‘GMO 유채오염, 축소은폐 부실처리 농림축산식품부 규탄한다’는 이름의 성명서를 9일 발표했다. 7일 농식품부가 내놓은 보도 자료에 대한 반박성 성격이다.

단체들은 성명서에서 가장 먼저 식물 검역의 부실한 체계를 강력하게 질타했다. 이들은 “2016년 1월부터 수입된 중국산 유채 종자 10개사 79.6톤 중에서 4개사의 32.5톤에서 GMO 유채 혼입이 확인됐다고 한다. 구멍 뚫린 식물검역으로 전국에 걸쳐 GMO 오염이 이뤄졌으며 이에 대한 분명한 설명이 없다”며 “표본조사를 했는데 우연히 막지 못한 것인지 아니면 상대국의 자료만 보고 통관시킨 것은 아닌지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단체들은 또 검역 당국이 관련 사실을 축소은폐하려 하고 있다며 투명한 공개를 요구했다. 정부는 유채 종자 32.5톤 중 19톤이 GMO로 최종 확인됐고, 이 중 14.2톤은 소각하고 4톤은 전국 56개소에 식재된 것이 확인돼 경운 또는 폐기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단체들은 “GMO로 오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나머지 12.1톤에 대한 설명이 전혀 없다. 정부부처가 확인하지 못했기 때문에 보고에서 제외했다는 것이다. 정부가 보고하지 않은 12.1톤은 농민들이 축산 사료로 묶어서 전국의 농가로 흩어질 수도 있을 것”이라며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12.1톤의 유채가 뿌려진 곳은 오염지인지 아닌지조차 분명하게 파악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와 함께 단체들은 “GMO 유채 처리매뉴얼을 무시한 채 부실하게 처리되고 있고, GMO 오염지 격리구역도 설정은커녕 표찰조차 없는 상태로 허술하게 관리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번 사태에 대해 △정부 당국은 관련 사실의 축소은폐 중단하고 투명하게 공개해 줄 것 △민관공동대책위 구성 통해 오염재배지 공개하고 공동관리체계 수립할 것 등을 요구했다.

고성진 기자 kosj@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